미래 서울의 인구는 점차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또 서울지역 중산층은 갈수록 엷어져 계층간 격차는 더욱 벌어진다.

주거교통이 편리한 시 외곽지역이 고소득층의 새 거주단지가 될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서울시정개발연구원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서울의 미래를 읽는다'는 보고서를 26일 펴냈다.

이 보고서는 미래 서울의 경제 사회 부동산 교통 환경 등이 어떻게 바뀔 것인가에 대해 각 분야 전문가들의 기고를 모은 것이다.

◆ 인구변화 및 빈부격차 =보고서에 따르면 서울인구는 2000년 1천7만여명에서 2020년 9백50만여명으로 줄어드는 반면 수도권 지역 인구는 꾸준히 늘 것으로 전망됐다.

서울 인구 감소에도 불구하고 20,30대 전문직ㆍ고급인력의 서울집중이 여전할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또 서울의 핵심산업으로 디지털콘텐츠, 전시ㆍ컨벤션, 패션 등 고부가가치 산업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했다.

이에 따라 서울도심 내 전통적인 형태의 공장은 사라지고 오피스(사무빌딩)형 생산시설 중심으로 바뀔 것으로 전망됐다.

특히 산업구조가 고부가가치 위주의 3차 산업으로 개편되면서 직종간 계층간 소득격차도 커질 것으로 보고서는 예측했다.

즉 땅값이 높고 생활비가 비싼 서울지역의 특성상 고부가가치 산업과 전문화된 직종이 서울지역에 많이 생겨날 것이고 이들 직업은 대부분 고학력·고소득자가 차지하게 될 것이기 때문에 도심 내 소득간 불균형을 심화시킬 것이란 분석이다.

이밖에 보고서는 서울지역의 제조업 비중은 갈수록 줄어드는 반면 경기 인천 충청남북도의 제조업 비중은 늘어날 것으로 예측했다.

이에 따라 서울지역의 생산자 서비스업이 위축되고 대신 소비자 서비스업만 크게 늘어 서울의 경쟁력을 약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 주거 형태 및 선택 기준 변화 =보고서는 매년 주거인구가 줄어들고 있는 종로와 중구 등 도심지역의 주거패턴에도 상당한 변화가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즉 기존의 노후된 주거환경으로 저소득층이 주로 거주하던 형태에서 도심지역에 오피스텔이 급증하면서 전문직과 사무직 등의 전입이 늘어날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와 함께 보고서는 앞으로 지식정보화 사회로 발전하면서 소득수준의 차이에 따라 주거지 선택의 기준이 달라질 것으로 내다봤다.

즉 지식정보화 사회로 발전할수록 주택의 용도가 주거기능 외에 생산ㆍ작업 기능이 강조되고 이에 따라 기존의 '직주근접(직장에 가까이 거주하는 것)'을 따지던 주거지 선택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란 분석이다.

이런 분석을 근거로 보고서는 고소득ㆍ전문직의 경우 강남 등 일부 지역에 독자적인 '커뮤니티'를 형성하며 살던 주거형태에서 교육환경이 좋거나 주거환경이 월등한 도시 외곽지역으로 분산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반면 낮은 수준의 직업에 종사하는 저소득ㆍ봉급생활자의 경우 직장이 위치한 도심지역으로 집중될 가능성이 크다고 전망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