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T업계 음악펀드 만든다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네오위즈 다날 등 음악 관련 정보기술(IT) 업체들과 정부가 공동으로 1백억원 규모의 음악 전문 펀드를 조성,대대적으로 음악사업에 투자한다.
국내에서 음악 전문 펀드가 결성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민관이 공동으로 음악 제작 및 유통에 나선 것도 유례가 없다. 관련업계는 음악펀드가 조성되면 수년째 침체되고 있는 음악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코스닥 등록업체인 네오위즈와 다날은 28일 공시를 통해 문화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주도하는 음악 전문 투자펀드 '일신 음악엔터테인먼트 투자조합'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펀드 규모는 1백억원이다.
펀드 투자금액은 네오위즈가 25억원(자회사인 아인스디지탈 포함),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5억원,다날 20억원,음반사 티엔터테인먼트 15억원,일신창업투자 10억원,일본 연예 프로덕션 호리프로 5억원 등이다.
투자조합은 온·오프라인 음악 제작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온라인 음악시장이 급성장하는 추세에 맞춰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싱글음반에 주력해 온라인 음악 서비스의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하기로 했다.
펀드 참여업체들은 투자를 통해 확보한 음원을 다양하게 활용할 예정이다. 이른바 '원소스 멀티유즈'(하나의 콘텐츠를 다용도로 활용)를 추구하기로 했다.
네오위즈는 자사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인 '쥬크온'을 통해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인스디지탈은 온라인 음원 유통사업을 맡기로 했다. 또 티엔터테인먼트는 오프라인 음반 제작 및 유통에 나서고,다날은 모바일 관련 서비스를 각각 담당키로 했다. 일본 호리프로는 한국 음악의 해외 진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펀드 결성을 계기로 국내 음악시장 판도에 적지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펀드 참여업체 관계자는 "그 동안 음반사와 음악제작사,온라인 음악 서비스 업체들이 마찰을 빚어왔으나 인터넷 업체들이 음악 제작단계부터 참가해 음원 사용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음원을 확보하려는 인터넷 업체들이 펀드 결성에 적극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무료 온라인 음악 사이트인 벅스가 유료화를 선언한 것과 맞물려 국내 음악시장이 인터넷업체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
국내에서 음악 전문 펀드가 결성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민관이 공동으로 음악 제작 및 유통에 나선 것도 유례가 없다. 관련업계는 음악펀드가 조성되면 수년째 침체되고 있는 음악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다.
코스닥 등록업체인 네오위즈와 다날은 28일 공시를 통해 문화관광부 산하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이 주도하는 음악 전문 투자펀드 '일신 음악엔터테인먼트 투자조합'에 참여한다고 밝혔다. 펀드 규모는 1백억원이다.
펀드 투자금액은 네오위즈가 25억원(자회사인 아인스디지탈 포함),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5억원,다날 20억원,음반사 티엔터테인먼트 15억원,일신창업투자 10억원,일본 연예 프로덕션 호리프로 5억원 등이다.
투자조합은 온·오프라인 음악 제작에 집중적으로 투자할 계획이다. 특히 온라인 음악시장이 급성장하는 추세에 맞춰 온라인 기반의 디지털 싱글음반에 주력해 온라인 음악 서비스의 새로운 사업모델을 발굴하기로 했다.
펀드 참여업체들은 투자를 통해 확보한 음원을 다양하게 활용할 예정이다. 이른바 '원소스 멀티유즈'(하나의 콘텐츠를 다용도로 활용)를 추구하기로 했다.
네오위즈는 자사의 온라인 음악 서비스인 '쥬크온'을 통해 음악 서비스를 제공하고 아인스디지탈은 온라인 음원 유통사업을 맡기로 했다. 또 티엔터테인먼트는 오프라인 음반 제작 및 유통에 나서고,다날은 모바일 관련 서비스를 각각 담당키로 했다. 일본 호리프로는 한국 음악의 해외 진출을 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펀드 결성을 계기로 국내 음악시장 판도에 적지잖은 변화가 예상된다.
펀드 참여업체 관계자는 "그 동안 음반사와 음악제작사,온라인 음악 서비스 업체들이 마찰을 빚어왔으나 인터넷 업체들이 음악 제작단계부터 참가해 음원 사용권을 확보할 수 있게 됐다"며 "디지털 음원을 확보하려는 인터넷 업체들이 펀드 결성에 적극 나서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무료 온라인 음악 사이트인 벅스가 유료화를 선언한 것과 맞물려 국내 음악시장이 인터넷업체 중심으로 급격히 재편될 수 있다고 내다봤다.
박영태 기자 py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