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이즈혈액' 깃털만 처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혈액 관리 감독 소홀로 에이즈(후천성면역결핍증)와 말라리아 등에 오염된 혈액을 유통시킨 대한적십자사 산하 혈액원 관계자들이 무더기 사법처리됐다.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성시웅 부장검사)는 혈액검사와 관리를 잘못해 부적격 혈액을 유통시킨 혐의(업무상 과실치상 및 혈액관리법 위반)로 전현직 중앙 및 지방혈액원장과 혈액원 검사담당 직원 등 총 27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29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에이즈바이러스 잠복기 상태에 있는 헌혈지원자 3명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유통시켜 6명이 수혈,2차 감염된 가족 1명을 포함해 7명이 에이즈에 감염됐고 이 중 3명이 이미 숨졌다.
또한 B·C형 간염에 감염돼 헌혈유보군으로 분류된 헌혈지원자 9명에 대한 헌혈경력 조회도 하지 않고 채혈한 후 15명에게 수혈시켜 이 중 8명이 간염에 감염됐다.
뿐만 아니라 혈액 관리자들의 부실한 감독으로 말라리아 보균자들로부터 채혈한 후 8명에게 수혈,4명이 말라리아에 감염되기도 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
서울중앙지검 형사2부(성시웅 부장검사)는 혈액검사와 관리를 잘못해 부적격 혈액을 유통시킨 혐의(업무상 과실치상 및 혈액관리법 위반)로 전현직 중앙 및 지방혈액원장과 혈액원 검사담당 직원 등 총 27명을 불구속 기소했다고 29일 밝혔다.
검찰에 따르면 이들은 2001년부터 2003년까지 에이즈바이러스 잠복기 상태에 있는 헌혈지원자 3명으로부터 채혈한 혈액을 유통시켜 6명이 수혈,2차 감염된 가족 1명을 포함해 7명이 에이즈에 감염됐고 이 중 3명이 이미 숨졌다.
또한 B·C형 간염에 감염돼 헌혈유보군으로 분류된 헌혈지원자 9명에 대한 헌혈경력 조회도 하지 않고 채혈한 후 15명에게 수혈시켜 이 중 8명이 간염에 감염됐다.
뿐만 아니라 혈액 관리자들의 부실한 감독으로 말라리아 보균자들로부터 채혈한 후 8명에게 수혈,4명이 말라리아에 감염되기도 했다.
정인설 기자 surisuri@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