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부실 환란때보다 심각 ‥ 대신경제硏 분석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가계 부실화 위험이 외환위기 때보다 더 심각한 것으로 분석됐다.
대신경제연구소는 3일 가계의 자산과 부채,저축률,실업률 등을 토대로 산출한 '가계부실지수'가 올 1ㆍ4분기 127.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23.5를 넘어서는 것이다.
가계부실지수는 1998년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00년 104.5로 안정됐으나 2001년부터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이 지수가 100보다 높을수록 가계 부실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문병식 대신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001년 이후 고용시장 부진이 지속되고 신용카드 부실과 부동산 관련 대출 증가로 가계부채 문제가 악화돼 가계 부실이 외환위기 당시보다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3월 말 현재 가계 금융부채 잔액은 5백35조5천억원으로 1998년 말(2백69조9천억원)보다 거의 2배로 증가한 반면 가계의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은 1998년 2.49배에서 올 1ㆍ4분기 1.96배로 떨어졌다.
또 외환위기 이전에 10%대 초반에 머물던 근로자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도 올 1ㆍ4분기에는 25.9%로 뛰었다.
이에 따라 가계 흑자율은 21.7%로 1982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
대신경제연구소는 3일 가계의 자산과 부채,저축률,실업률 등을 토대로 산출한 '가계부실지수'가 올 1ㆍ4분기 127.9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이는 외환위기 직후인 1998년의 123.5를 넘어서는 것이다.
가계부실지수는 1998년 최고치를 기록한 뒤 2000년 104.5로 안정됐으나 2001년부터 다시 오름세로 돌아섰다.
이 지수가 100보다 높을수록 가계 부실화 가능성이 크다는 것을 뜻한다.
문병식 대신경제연구소 선임연구원은 "2001년 이후 고용시장 부진이 지속되고 신용카드 부실과 부동산 관련 대출 증가로 가계부채 문제가 악화돼 가계 부실이 외환위기 당시보다 심각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3월 말 현재 가계 금융부채 잔액은 5백35조5천억원으로 1998년 말(2백69조9천억원)보다 거의 2배로 증가한 반면 가계의 상환능력을 나타내는 금융부채 대비 금융자산 비율은 1998년 2.49배에서 올 1ㆍ4분기 1.96배로 떨어졌다.
또 외환위기 이전에 10%대 초반에 머물던 근로자 가계의 가처분소득 대비 부채상환 비율도 올 1ㆍ4분기에는 25.9%로 뛰었다.
이에 따라 가계 흑자율은 21.7%로 1982년 이후 22년 만에 가장 낮은 수준으로 떨어졌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