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황이 깊어지면서 거래관계에 있는 업종간에 납품가격,대금결제 조건 등을 놓고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소비자들이 값싼 제품만을 찾고 있는 가운데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원가 부담이 커져 업종간 비용 떠넘기기가 표면화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현상은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하의 물가상승) 조짐과 맞물려 앞으로 더욱 확산될 것으로 보인다.

4일 업계에 따르면 나프타 등 기초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석유화학업체들이 에틸렌 등의 가격을 인상할 움직임을 보이자 플라스틱업계가 반발하고 있다.

플라스틱업계는 '원유→나프타→에틸렌→폴리에틸렌→플라스틱 제품'으로 이어지는 생산라인에서 폴리에틸렌 가격이 급등할 경우 플라스틱 가격도 함께 올려야 하나 그렇지 못하다며 항변하고 있다.

프라스틱조합연합회는 최근 회장을 비롯한 관계자들이 한국석유화학공업회를 비롯한 원료생산 대기업 7개사를 방문해 현황을 설명하고 가격안정 협력을 요청했다.

충청도 충주시에서 농업용 PE필름을 생산하는 T사 관계자는 "최근 필름가격을 10%가량 올렸지만 소비자인 농민들의 반발에 부닥쳐 매출이 크게 감소했다"며 유화업계의 가격인상 방침에 대해 불만을 표시했다.

대금 조건을 둘러싼 갈등도 빚어지고 있다.

중소기업들은 대기업으로부터 원자재를 현금으로 구입한 후 외상으로 팔고 있는데 이때 받는 어음의 현금화 기간이 갈수록 길어지고 있다.

기협중앙회가 최근 1천5백개 중소제조업체를 대상으로 '2ㆍ4분기 판매대금 결제상황'을 조사한 결과 어음판매 대금의 현금화 기간(수취기일과 결제기일 포함)이 1백35.1일에 달했다.

이는 1ㆍ4분기보다 0.4일,작년 같은 기간보다는 3.5일 더 길어진 것이다.

특히 제1차금속(1백56.1일) 가죽·가방 및 신발(1백53.9일) 섬유(1백50.7일) 화합물 및 화학(1백50.1일) 업종에서 심해 이들 업종과 거래업체간 갈등이 심해지고 있다.

유통업계와 제조업체간 납품가격 갈등은 불황이 깊어질 수록 심하다.

지난 5월말 식품업체 CJ와 할인점 까르푸가 거래를 중단한 후 아직 재개되지 않고 있다.

까르푸는 CJ 제품이 차지하던 매대에 대상 오뚜기 등 경쟁업체 제품을 채워놓았다.

장마로 채소값이 오르자 김치를 만드는 식품업체와 계약 농가간 갈등도 나타나고 있다.

"종가집 김치"를 만드는 두산의 경우 포장 김치에 대한 수요가 크게 늘었지만 계약 농가들이 단가 인상을 요구하며 계약을 파기하려고 해 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배추 농가들은 봄 가뭄에 이어 갑자기 많은 비가 온데다 곧바로 무더위가 이어지는 등 널뛰듯이 변하는 기후 탓에 배추 작황이 매우 좋지 않아 수확량이 준 만큼 단가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두산은 천재지변으로 인한 흉작이라는 점에 인식을 같이 하고 어느정도 보상을 해 줘야 할 것으로 공감하고 있지만 어느 선에서 결정할 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불황으로 현금서비스가 줄어들고 있는 카드업체들은 최근 전국 5백여만 가맹점들에 가맹점 수수료를 올리기로 했으나 가맹점들이 집단반발해 결과가 주목되고 있다.

숙박 수퍼마켓등 일부 가맹점 단체들은 카드회사의 수수료 인상 요구는 경영부실과 정부의 감독 책임을 가맹점이 부당하게 전가시키려는 것이라며 항변하고 있다.

강창동 유통전문.정태웅.임상택 기자 cdka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