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래난' 건설대란 치닫나 ‥ 값 50%이상 급등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오는 2006년 12월 완공을 목표로 진행돼 오던 부산 신항만 배후부지 공사가 지난달 13일 중단됐다. 매립용 모래가 부족해서다.
배후부지 공사에는 총 3백89만t의 모래가 필요하지만 경남 통영시 욕지도 인근 해상에서 75만t의 모래를 캔게 고작이다.
국방부가 군작전상의 이유로 신규 모래채취 허가를 내주지 않은 것이 1차적인 공사중단의 이유지만 국내에 모래재고가 충분했다면 공사중단은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건설공사에 꼭 필요한 모래가 부족해 건설대란이 오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당장은 모래부족의 심각성이 덜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모래 수급 불균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들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0일 '모래 수입은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현재 국지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모래부족 현상이 건설대란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KMI는 보고서를 통해 "2002년 8월 전남 신안군이 바닷모래 채취를 전면 중지한 것을 시작으로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바닷모래 채취를 꺼리고 있지만 국내 모래산업의 여건상 수입도 쉽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모래 수급 불균형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입 활성화 방안 등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무조정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전체 모래 수요량 1억1천7백96만㎥중 33.4%가 바다에서 조달될 예정이며 이 중 2천7백42만㎥는 옹진군 태안군 등 연안해역에서, 나머지는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공급되는 모래와 쇄석(돌은 부숴 만든 모래)으로 각각 공급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옹진군, 태안군 등에서는 지역민의 반발로 인해 1천5백만㎥의 모래만을 채취한 뒤 채취작업이 중단됐으며 또 EEZ 모래나 쇄석은 모래의 품질이 떨어져 건설업자들이 꺼려하고 있다.
정부의 모래 수급대책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모래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다른 대책으로 중국과 북한에서 모래를 수입하는 것이지만 안정적으로 모래를 공급받는 데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의 경우 최근 환경에 대한 규제가 심해져 2003년 중국에서 모래채취를 허가받은 15개 업체를 제외하고는 바닷모래 채취허가를 일절 중단한 상태다.
북한의 경우 남북한 간 해운협정이 없어 제3국 선박을 이용해야 하고 통관절차가 까다로워 대량의 모래를 수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건설교통부는 "배타적경제수역에서 모래채취허가를 늘리고 북한에서 수입량을 확대하면 현재 상황에서 모래부족이 건설대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고 밝혔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
배후부지 공사에는 총 3백89만t의 모래가 필요하지만 경남 통영시 욕지도 인근 해상에서 75만t의 모래를 캔게 고작이다.
국방부가 군작전상의 이유로 신규 모래채취 허가를 내주지 않은 것이 1차적인 공사중단의 이유지만 국내에 모래재고가 충분했다면 공사중단은 막을 수 있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지적이다.
건설공사에 꼭 필요한 모래가 부족해 건설대란이 오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건설경기 침체로 당장은 모래부족의 심각성이 덜하지만 장기적으로는 모래 수급 불균형이 불가피할 것이라는 전망들이다.
한국해양수산개발원(KMI)은 10일 '모래 수입은 가능한가'라는 제목의 보고서를 통해 현재 국지적으로 일어나고 있는 모래부족 현상이 건설대란으로 발전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KMI는 보고서를 통해 "2002년 8월 전남 신안군이 바닷모래 채취를 전면 중지한 것을 시작으로 대부분의 지자체들이 바닷모래 채취를 꺼리고 있지만 국내 모래산업의 여건상 수입도 쉽지 않다"고 지적하면서 "모래 수급 불균형이 장기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수입 활성화 방안 등의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국무조정실 자료에 따르면 올해 우리나라의 전체 모래 수요량 1억1천7백96만㎥중 33.4%가 바다에서 조달될 예정이며 이 중 2천7백42만㎥는 옹진군 태안군 등 연안해역에서, 나머지는 배타적 경제수역(EEZ)에서 공급되는 모래와 쇄석(돌은 부숴 만든 모래)으로 각각 공급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옹진군, 태안군 등에서는 지역민의 반발로 인해 1천5백만㎥의 모래만을 채취한 뒤 채취작업이 중단됐으며 또 EEZ 모래나 쇄석은 모래의 품질이 떨어져 건설업자들이 꺼려하고 있다.
정부의 모래 수급대책에 빨간불이 켜진 것이다.
모래수급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또다른 대책으로 중국과 북한에서 모래를 수입하는 것이지만 안정적으로 모래를 공급받는 데는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다.
중국의 경우 최근 환경에 대한 규제가 심해져 2003년 중국에서 모래채취를 허가받은 15개 업체를 제외하고는 바닷모래 채취허가를 일절 중단한 상태다.
북한의 경우 남북한 간 해운협정이 없어 제3국 선박을 이용해야 하고 통관절차가 까다로워 대량의 모래를 수입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한편 건설교통부는 "배타적경제수역에서 모래채취허가를 늘리고 북한에서 수입량을 확대하면 현재 상황에서 모래부족이 건설대란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적다"고 밝혔다.
송형석 기자 click@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