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공계 인력 53명 사무관 특채] '이공계살리기' 정책 가시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중앙인사위원회가 연말까지 이공계 박사급과 기술사를 대거 사무관(5급)으로 특별채용키로 한 것은 참여정부의 '이공계 중용' 인사정책이 가시화된 것으로 해석된다.
이번 특채인력 53명 대부분이 실행부서나 산하기관이 아닌 핵심 정책부서에 배치되는 것도 특징이다.
조창현 중앙인사위 위원장은 "정책의 전문화와 과학기술적 접근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경제부처도 상당수 채용 =특허청 등 기술직이 많은 부처 뿐만아니라 재경부 행정자치부 교육인적자원부 등 경제 및 일반행정 부처에 박사급 이공계 인력을 투입함으로써 주요 정책결정 때 과학기술적인 시각을 가미하기 위한 것이라고 중앙인사위측은 설명했다.
이들은 고등고시를 보지 않는 대신 논문심사와 면접을 통해 선발될 예정이다.
해당 부처 실국장급 공무원과 관련 분야 전문가 등이 시험위원으로 위촉돼 직무능력을 검증하게 된다.
◆ 2008년까지 신규채용 40%를 이공계로 =부처별 특채는 계속 이뤄졌으나 중앙부처 인사를 총괄하는 행정기관에서 한꺼번에 5급 공무원을 특채한 것은 지난 97년6월 국제전문인력 30명을 채용한 이후 처음이다.
중앙인사위는 앞으로도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50명 가량의 우수인력을 특채해 각 부처에 임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럴 경우 지난 2002년 5급 공무원 신규채용에서 23.5%에 불과하던 기술직은 올해 30% 이상으로 늘어나고 오는 2006년에 33.4%를 거쳐 2008년에는 40%까지 늘어나게 된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
이번 특채인력 53명 대부분이 실행부서나 산하기관이 아닌 핵심 정책부서에 배치되는 것도 특징이다.
조창현 중앙인사위 위원장은 "정책의 전문화와 과학기술적 접근을 유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
◆ 경제부처도 상당수 채용 =특허청 등 기술직이 많은 부처 뿐만아니라 재경부 행정자치부 교육인적자원부 등 경제 및 일반행정 부처에 박사급 이공계 인력을 투입함으로써 주요 정책결정 때 과학기술적인 시각을 가미하기 위한 것이라고 중앙인사위측은 설명했다.
이들은 고등고시를 보지 않는 대신 논문심사와 면접을 통해 선발될 예정이다.
해당 부처 실국장급 공무원과 관련 분야 전문가 등이 시험위원으로 위촉돼 직무능력을 검증하게 된다.
◆ 2008년까지 신규채용 40%를 이공계로 =부처별 특채는 계속 이뤄졌으나 중앙부처 인사를 총괄하는 행정기관에서 한꺼번에 5급 공무원을 특채한 것은 지난 97년6월 국제전문인력 30명을 채용한 이후 처음이다.
중앙인사위는 앞으로도 매년 과학기술 분야에서 50명 가량의 우수인력을 특채해 각 부처에 임용한다는 계획이다.
이럴 경우 지난 2002년 5급 공무원 신규채용에서 23.5%에 불과하던 기술직은 올해 30% 이상으로 늘어나고 오는 2006년에 33.4%를 거쳐 2008년에는 40%까지 늘어나게 된다.
김철수 기자 kcso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