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국무총리가 일상적인 국정 전반을 총괄하고 노무현 대통령은 장기전략과제 등에 집중하는 것으로 역할을 나누기로 했지만 구체적인 방안은 즉각 나오지 않고 있다.

청와대 관계자들이 총리실과 협의에 들어갔지만 전체적으로 '운영의 묘'를 살리겠다는 쪽으로 해석된다.

예컨대 국무회의만 해도 앞으로 누가 주재할지 확정되지 못한 상태다.

총리가 좀 더 전면에 나서게 된다지만 국무회의의 전체적인 주재권이 이 총리에게 넘어갈 것 같지는 않다.

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앞으로도 국무회의에 참석할 것"이라고 말했지만 이전처럼 참석해 회의를 직접 주재한다는 것인지,참석은 하되 통상의 심의안건 외에 '토론과제'에 대한 국무위원들의 의견수렴 등 회의진행까지 총리에게 넘긴다는 것인지 명확하게 정리되지 않았다.

노 대통령이 스스로 챙길 사례로 거론한 고령화사회 대책,중장기 국가에너지 대책 등 외에 경제문제,외교·국방·안보 등의 문제도 다소 애매한 영역이다.

김 대변인은 경제문제와 관련,"대통령이 경제문제에 관심을 갖지 않는다거나 관여하지 않는다는 것이 아니고,총리가 좀 더 책임지고 총괄하라는 의미"라고 말했다.

청와대 보고문서는 총리실에도 동시에 보내라고 했지만 인사와 정보관련 업무는 여전히 대통령 몫으로 남을 것으로 보인다.

국정 전반을 챙긴다해도 최근 식품의약품안전청 사건처럼 청장에 대한 인사문제까지 총리가 적극 주도하면서 사안을 풀어나가기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