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행정수도 건설은 부산권을 위축시키는 결과를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지역 특성을 살린 대응전략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나왔다.

박인호 부산경제가꾸기시민연대 상임의장은 12일 오후 부산상공회의소 회의실에서 열린 `신행정수도건설과 부산의 미래' 토론회에 참석, `신행정수도 건설이 부산권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라는 주제발표를 통해 이같이 주장했다.

박 의장은 "신행정수도 건설이 기존 수도권의 범위를 확장시키는 결과를 빚어부산경제가 흡입되는 새로운 블랙홀로 작용할 것"이라며 "부산과 울산, 경남에는 경제측면에서 마이너스 효과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말했다.

박 의장은 "이에 따라 부산지역 입장에서는 신행정수도 건설에 대한 논의를 지방분권의 확대와 지역균형발전의 구체화에 집중해야 하고 아울러 부산시는 지역특성을 살린 해양특별시로서의 지위를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신행정수도 건설과 함께 광역경제촉진법을 제정해 부산.울산.경남의광역경제권을 육성하도록 하는 한편 지역 차원의 적극적인 대응책 마련을 위해 부산시와 전문가, 시민단체 등으로 구성된 위원회를 구성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어 토론에 나선 한나라당 박형준 의원은 "행정수도 이전 문제를 정쟁으로 끌고가서는 안된다"며 "수도이전의 결과에 대해 정확하게 판단을 할 수 없는 만큼 시간을 두고 다양한 검토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조경태 의원(열린우리당)은 "부산의 낙후성은 수도권 과밀화에서 비롯된 만큼신행정수도 이전으로 수도권 기능을 축소하고 부산을 비롯한 각 광역권 지방들이 자생력을 갖추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재길 국토연구원 도시연구실장은 "해방이후 수도권 집중현상으로 빚어진 수도권과 지방과의 격차를 더이상 방치할 수 없다"며 "국민 삶의 질을 위해서라도 신행정수도 건설을 통한 지역발전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반해 류동길 숭실대 경제학부 교수는 "지방균형발전을 위해서는 수도를 이전할 것이 아니라 지역 특성에 맞는 전략적 투자로 지역의 역량을 높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지적했다.

(부산=연합뉴스) 김상현 기자 josep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