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콜금리 인하를 전격 발표하면서 "물가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지만 최근 국제유가의 고공 비행으로 가뜩이나 불안한 물가에 악재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만만치 않다.


지난 7월 중 소비자물가는 1년 전에 비해 4.4% 올랐다.


정부의 전망치 3%대를 훌쩍 뛰어넘은 상태다.


생산자물가도 7%나 올랐다.


때문에 금통위가 콜금리 인하에 앞서 가장 고심했던 것 중 하나가 물가였다.


이런 상태에서 금리를 내린 것은 물가 상승세에 부채질을 하는 결과로 이어지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다.


전문가들의 의견은 엇갈렸다.


금리 인하로 투자와 소비 여력이 늘어나는 만큼 총수요를 확대해 물가 상승으로 이어질 것이라는 지적과 함께 최근의 물가 상승은 유가 급등과 같은 비용 요인(cost-push)에 의한 측면이 크기 때문에 물가에 대한 즉각적인 파급을 염려할 단계는 아니라는 진단도 나온다.


정부는 물론 민간 전문가들도 금리 인하의 물가 파급 효과가 당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


금통위가 최근의 물가 상승세에도 불구하고 콜금리 인하를 전격 결정할 수 있었던 것은 소비와 투자 부진이 워낙 심각해 당장 물가에 미칠 영향은 걱정할 필요가 없다는 '믿음'이 작용했다는 분석이다.


재정경제부 박병원 차관보는 "지금 고물가는 국제 원유가격이 크게 오르고 가뭄과 고온 등으로 농산물 가격이 뛴 데 따른 것"이라며 "이는 소비와 투자 등 수요 요인과는 관계가 없다"고 말했다.


박 차관보는 "일반적으로 금리를 내리면 물가가 오른다는 공식은 수요가 늘어 물가를 자극할 것이라는 논리인데 지금은 그런 상황이 아니다"고 덧붙였다.


김주형 LG경제연구원 상무도 "현재 투자나 소비 등의 수요가 매우 부진해 금리를 내리더라도 물가를 자극할 정도는 못될 것"이라며 "이번 콜금리 인하는 정상 이하로 떨어져 있는 수요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이번 콜금리 인하의 물가 상승 압력은 미미할 것이라는 얘기다.


김 상무는 다만 "하반기에도 고유가가 상당기간 지속돼 소비자물가가 국민생활에 부담을 줄 정도까지 오른다면 경기 부양을 위한 정부의 정책 기조에도 영향을 미칠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미국 등 주요 선진국들이 최근 금리를 인상하는 추세에 반해 한국만 거꾸로 금리를 내린 것이 외국인 투자자금 유출을 촉발하지 않겠느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정부는 다른 의견을 내놓고 있다.


박 차관보는 "한국에 들어와 있는 외국인 투자자금의 대부분은 채권보다는 주식투자를 위한 것"이라며 "이번 콜금리 인하가 증시에 호재로 작용하면 오히려 외국인 자금이 더 들어오는 효과를 낳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