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콜금리 인하를 전격 발표하면서 "물가에 대한 영향이 크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금리 인하가 최근 국제유가의 고공 비행으로 가뜩이나 불안한 물가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겠느냐는 우려가 적지 않다.

지난 7월 중 소비자물가는 1년 전에 비해 4.4% 올랐다.

정부의 전망치 3%대를 훌쩍 뛰어넘은 상태다.

생산자물가도 7%나 올랐다.

이런 상황에서 금리를 내리면 수요 압력이 생겨 물가 상승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때문에 금통위가 콜금리를 인하하기 전에 가장 고심했던 것 중 하나가 물가였다.

일단 정부는 물론 민간 전문가들도 이번 금리 인하의 물가 파급 효과는 크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주형 LG경제연구원 상무는 "현재 투자나 소비 등의 수요가 매우 부진해 금리를 내리더라도 물가를 자극할 정도는 못될 것"이라며 "이번 콜금리 인하는 비정상적으로 떨어져 있는 수요를 정상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이해한다"고 말했다.

장재철 삼성경제연구소 수석연구원도 "지금처럼 내수경기가 안좋은 상태에선 인플레이션 압력을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고 동조했다.

성명기 한국개발연구원(KDI) 전문연구원은 "금리 인하가 궁극적으로는 수요를 키워 인플레 압력으로 작용할 수 있지만 상당한 시차가 발생한다"며 "물가가 문제가 된다면 그때 가서 금리를 올려 대응하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성 연구원은 "최근 물가상승은 유가 급등과 같은 비용요인(cost-push)에 따른 것으로 어쩔 수 없이 감수해야 할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LG경제연구원 김 상무는 "하반기에도 고유가가 상당기간 지속돼 소비자물가가 국민생활에 부담을 줄 정도까지 오른다면 물가불안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며 "더구나 이번 금리 인하로도 내수가 회복되지 않는다면 저성장·고물가의 '스태그플레이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차병석 기자 chab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