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李海瓚) 국무총리는 17일 노무현(盧武鉉) 대통령의 언급에 따라 국가정보원, 국방부, 검찰, 경찰 등 국가기관들이 자체 과거사 의혹사건들에 대한 진상규명에 착수한 것과 관련, "현재 정부 각 기관이 스스로 과거를 밝히는 노력을 하고 있는 것으로 알고 있다"며 관련 기관의 적극적인 규명 노력을 당부했다.

이 총리는 이날 청와대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일부에선 경제가 어려운데 왜 진상규명에 치중하느냐는 지적이 있다"면서 "그러나 상황이 나쁘면 나쁘다고 좋으면 좋다고 (진상규명을) 미루다 보니 제대로 우리 역사의 진실을 규명하지 못한 측면이있다"며 이같이 지시했다고 정순균(鄭順均) 국정홍보처장이 전했다.

이 총리는 또 "상황이 어려우면 어려운 점을 감안해 역사를 제대로 규명하는 것이 `역사 바로세우기'를 위해서도 필요하며 역사 앞에 진솔하고 올바른 자세"라고 말했다.

이와 함께 이 총리는 고유가 문제에 언급, "고유가로 인해 연간 15억 달러 내지20억 달러의 추가부담이 예상된다"며 "산업자원부는 고유가 관리와 효율적인 에너지대책을 마련하기 위해 각별히 유념해 달라"고 지시했다.

이밖에 이 총리는 외국인 고용허가제 문제와 관련해 "총괄적이고 근본적인 관리대책을 수립해 달라"고 주문했다.

(서울=연합뉴스) 정재용 김화영기자 jjy@yna.co.kr quintet@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