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경에세이] 두 가지 에너지 위기.. 이희국 < LG전자 사장 >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이희국 < LG전자 사장heegooklee@lge.com >
배럴당 40달러가 넘는 고유가 상태가 몇 달째 지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태가 앞으로도 상당 기간 계속되면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석유 한 방울 생산하지 못하고 에너지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경제에 더 큰 짐을 안게 됐다.
수출로 경제를 지탱하는 산업구조다보니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고 그것은 다시 우리 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 국민들의 에너지 절약 의식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점도 걱정스럽다.
지금도 곳곳에서 낭비되는 에너지가 많다.
안타까운 일이다.
에너지 문제를 생각하면 고유가 말고도 또 하나 걱정스러운 게 있다.
바로 지구 온난화 문제다.
고유가는 사실 석유를 생산하지 못하는 일부 나라들의 문제라고 볼 수 있지만,지구 온난화는 지구촌 모두의 문제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더하다.
지구 온난화는 인류 문명 발전에 수반되는 탄산가스의 증가에 기인한다.
지구상에서 생산된 탄산가스 양은 1800년에 비해 무려 1천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앞으로도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하는 현재의 산업구조가 계속된다면 중국 인도 등 인구 대국의 경제성장과 맞물리면서 지구 온난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 온난화는 홍수,가뭄,생태계 파괴,농산물 수확 감소는 물론 심지어 생물의 멸종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재앙을 일으키고 있다.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의 일부를 잃어버리는 나라도 여러 곳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97년 세계 각국이 모여 교토의정서에 합의했고,이에 따라 현재 1백23개국 이상이 온실가스 배출 규제의 의무를 지고 있다.
우리나라엔 공식적으로는 그런 의무가 부과돼 있지 않지만,머지않아 나타날 국가별 배출가스 총량 규제란 새로운 무역장벽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될 시점이다.
고유가와 지구 온난화는 성격은 다르지만 그 출발점은 에너지에 있다.
그리고 이는 에너지 비용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인 규제의 등장이란 형태로 우리 경제에 더욱 힘겨운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 두 가지를 일거에 해결하는 길은 결국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에 있다.
그것은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덜어내는 또 하나의 중요한 처방이기도 하다.
지금이라도 이를 위한 광범위한 노력이 범국가적으로 전개되길 기대해 본다.
배럴당 40달러가 넘는 고유가 상태가 몇 달째 지속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상태가 앞으로도 상당 기간 계속되면서 악화될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석유 한 방울 생산하지 못하고 에너지 전량을 수입에 의존하는 우리나라로서는 그렇지 않아도 어려운 경제에 더 큰 짐을 안게 됐다.
수출로 경제를 지탱하는 산업구조다보니 수출을 늘리기 위해서는 더 많은 에너지를 소비해야 하고 그것은 다시 우리 경제를 압박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우리 국민들의 에너지 절약 의식이 우려할 만한 수준이라는 점도 걱정스럽다.
지금도 곳곳에서 낭비되는 에너지가 많다.
안타까운 일이다.
에너지 문제를 생각하면 고유가 말고도 또 하나 걱정스러운 게 있다.
바로 지구 온난화 문제다.
고유가는 사실 석유를 생산하지 못하는 일부 나라들의 문제라고 볼 수 있지만,지구 온난화는 지구촌 모두의 문제라는 점에서 그 심각성이 더하다.
지구 온난화는 인류 문명 발전에 수반되는 탄산가스의 증가에 기인한다.
지구상에서 생산된 탄산가스 양은 1800년에 비해 무려 1천배가량 증가한 것으로 추산된다.
앞으로도 화석연료를 주 에너지원으로 하는 현재의 산업구조가 계속된다면 중국 인도 등 인구 대국의 경제성장과 맞물리면서 지구 온난화는 더욱 빠르게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지구 온난화는 홍수,가뭄,생태계 파괴,농산물 수확 감소는 물론 심지어 생물의 멸종 등 여러 가지 형태의 재앙을 일으키고 있다.
빙하가 녹으면서 해수면 상승으로 국토의 일부를 잃어버리는 나라도 여러 곳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97년 세계 각국이 모여 교토의정서에 합의했고,이에 따라 현재 1백23개국 이상이 온실가스 배출 규제의 의무를 지고 있다.
우리나라엔 공식적으로는 그런 의무가 부과돼 있지 않지만,머지않아 나타날 국가별 배출가스 총량 규제란 새로운 무역장벽에 대비하지 않으면 안될 시점이다.
고유가와 지구 온난화는 성격은 다르지만 그 출발점은 에너지에 있다.
그리고 이는 에너지 비용의 급격한 증가와 더불어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국제적인 규제의 등장이란 형태로 우리 경제에 더욱 힘겨운 부담이 될 전망이다.
이 두 가지를 일거에 해결하는 길은 결국 에너지 절약과 에너지 절감 기술 개발에 있다.
그것은 우리 경제의 어려움을 덜어내는 또 하나의 중요한 처방이기도 하다.
지금이라도 이를 위한 광범위한 노력이 범국가적으로 전개되길 기대해 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