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의원들은 23일 본회의에서 과거사 진상규명문제를 놓고 열띤 공방을 펼쳤다.

이날 공방은 주로 한나라당이 노무현(盧武鉉)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이부영(李富榮) 의장을 겨냥해 공세를 펼친데 대해 우리당 의원들이 반격에 나서는 양상으로 진행됐다.

5분토론에 나선 한나라당 박찬숙(朴贊淑) 의원은 우리당 이부영 의장에 대해 "한나라 원내총무와 부총재를 했고 정부의 야당대표 죽이기에 맞선 사람으로서 말바꾸기를 하는 것에 대해 입장정리가 우선돼야 한다"고 공세를 펼쳤다.

박 의원은 또 "대통령과 집권당은 남의 조상묘를 파헤치는데 골몰하고 있다"며"그렇다면 위화도 회군은 쿠데타로 재평가돼야 하고, 문익점은 밀수행위로 단죄해야 하나"라고 반문했다.

같은 당 박형준(朴亨埈) 의원도 "전세계 어느 나라에서도 우리같이 정치권에서`전면전'하듯이 과거사 청산에 달려드는 법은 없다"며 "대통령과 여당대표까지 총출동하는 것은 야당파괴를 위한 것이고 재집권전략의 일환으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이같은 야당의 선제공격에 대해 우리당 정청래(鄭淸來) 의원은 "과거사 진실규명을 한다고 해서 경제가 어려워질 것이라는 데 동의하지 않는다"며 "자동차를 운전할 때도 백미러를 보고 운전하는 것은 앞으로 잘 전진하기 위한 것"이라고 반박했다.

정 의원은 이어 "역사바로세우기 작업은 과거사 진실을 규명하자는 것이지 처벌을 원하는 것이 아니다"고 강조했다.

같은 당 우제창(禹濟昌) 의원도 "역사세우기와 경제는 별개의 것"이라며 "역사바로세우기는 국민화합과 미래로 나아가는데 매우 중요하다"고 말했다.

그는 또 "과거사 문제와 관련 정치적 과실에만 집착하면 안될 것"이라며 "인식의 전환과 함께 실질적인 자세의 전환도 있어야 한다"고 덧붙였다.

(서울=연합뉴스) 김중배기자 jbkim@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