집권여당인 열린우리당이 노사정대타협추진위원회를 정식으로 발족시키면서 활동을 시작한 것은 반가운 일이다.

특히 경제난국 타개를 위해 노사정 대타협을 이루자는 한나라당 제안에 호응하는 형태로 이뤄져 더욱 그러하다.

과거사 공방 등으로 사사건건 대립하던 여야가 큰 성과를 낼 것으로 기대하긴 아직 이르지만 어쨌든 경제살리기를 위해 한목소리를 내기 시작한 것은 의미있는 일이 아닐 수 없다.

안정적 노사관계를 구축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는 굳이 강조할 필요도 없다.

그러나 노사가 극단적으로 대립하고 있는 우리 현실에서 노사 대타협을 이뤄내는 것이 결코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실제 정치권의 움직임에 대해 노동계와 재계는 "배경이 불순한 정치적 선언에 불과하다"거나 "정치적 이해관계까지 얽혀 문제해결이 더욱 어려워질 것"이라며 시큰둥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정치권이 나선다고 손쉽게 풀릴 일이 아님을 알 수 있다.

때문에 노사정 대타협을 이끌어내기 위한 전제조건은 근로자와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참여해 서로 한발씩 양보하면서 신뢰관계를 구축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이다.

그래야 허심탄회하게 대화할 수 있고 상대방의 의견을 받아들일 수도 있을 것이다.

특히 서로의 요구와 주장은 우리 경제가 감내할 수 있는 합리적인 수준이어야 한다.

예컨대 노조가 비정규직 차별철폐,노조의 경영참여,사회공헌기금 조성 등 사용자측이 받아들이기 힘들거나 애초에 거론대상도 되지 않는 주장을 계속한다면 논의 자체가 이뤄질 수 없을 것임은 너무도 분명하다.

물론 재계 역시 경영 투명성을 더욱 높이면서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 최선을 다하겠다는 의지를 적극적으로 보여줘야만 할 것이다.

노사정의 사회적 합의 시도는 노사정위원회가 발족한 지난 98년 이후 몇 차례 실험을 거친 바 있지만 성공을 거뒀다고 평가하기는 어렵다.

그런 점에서 그간의 경험을 살려 이번에야말로 노사 상생의 대타협을 이뤄내야 할 것이다.

여야의 대타협 추진이 민생을 외면한다는 여론을 희석시키기 위한 정치적 제스처가 아니길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