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엊그제 국가 에너지절약 추진위원회를 열고 고유가 지속에 대비해 국가 전체의 에너지 효율 개선 장ㆍ단기 대책을 내놨다.

공공기관의 탄력근무제 도입을 비롯 수송체계 정비 및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조기 상용화 추진,에너지 효율 개선을 위한 각종 자금 지원 및 세제 감면 등 생각할 수 있는 모든 것은 다 동원한 느낌이다.

때늦은 감도 없지 않지만 종합적인 대책을 서둘러 강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위기의식을 느낀 것은 다행이다.

최근 들어 고유가 추세가 다소 주춤하고 있다는 소식도 들려오지만 날로 증대하는 수요와 빡빡한 공급 사정 등 수급 문제를 생각할 때 고유가를 대세로 받아들이고 대책을 강구하는 것이 마땅하다.

석유 한방울 나지 않는 우리나라는 에너지 수입의존도가 97%나 되고 석유소비량은 세계 6위에 달하고 있다.

고유가가 지속될 경우 실물경제 전반에 비용 상승을 가져와 물가 상승,성장률 둔화,국제수지 악화 등은 불을 보듯 뻔하다.

혹자는 "고유가는 우리만의 현상이 아니다" "고유가가 우리에게 기회를 가져다 줄 수도 있다"는 얘기도 하는 모양이지만 위험천만한 생각이다.

우리나라처럼 에너지 다소비형 경제구조의 경우 그 경제적 충격이 남다르다는 점을 절대 간과해선 안되기 때문이다.

고유가가 우리에게 기회가 될 수 있느냐 없느냐 하는 것도 이를 계기로 얼마만큼 에너지 저소비형 경제구조로의 전환에 성공하느냐에 달린 문제다.

이번 대책이 규제와 인센티브 병행으로 자연스럽게 에너지 절약을 유도하는 시스템을 마련하는데 초점을 맞춘 것은 과거에 비해 진일보한 측면이다.

또한 상대적으로 가격이 싼 에너지가격을 절약의 동기부여가 될 수 있는 수준으로 단계적으로 조정하겠다는 것도 눈길을 끄는 대목이다.

최근 2차 에너지세 개편이 논란이 되고 있지만 유종간 상대가격 조정은 원칙을 갖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본다.

문제는 에너지 효율 개선대책을 얼마나 일관성있게 추진하느냐에 있다.

에너지 절약은 체질화될 수 있어야 비로소 실질적인 효과가 나타날 수 있고,에너지 저소비형 기술개발 등 중장기 대책도 지속적으로 추진돼야만 소기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과거의 숱한 에너지 대책이 성과를 거두지 못한 이유도 방향이 틀려서가 결코 아니었다.

그런 점에서 상황이 조금이라도 달라지기만 하면 언제 그랬느냐는 식의 일이 또다시 되풀이돼선 안된다.

이번만은 국제유가 변동에 좌우되지 않고 정부와 국민 기업이 모두 힘을 합쳐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