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지원을 위한 사모펀드(PEF)가 처음으로 설립됐다.

우리은행은 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책의 일환으로 미국계 투자은행인 메릴린치와 공동으로 1천1백억원 규모의 '우리모아 펀드'를 설립했다고 30일 발표했다.

이 펀드에는 우리은행이 1천억원을 출자했으며 메릴린치가 1백억원을 투자했다.

펀드가 투자할 대상 기업의 심사와 선정은 우리은행이 맡고 펀드의 운용은 우리투신운용이 담당한다.

만기는 5년이다.

중소기업 지원을 전담하는 사모펀드가 설립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또 은행권이 사모펀드를 설립하는 것도 처음으로 자금동원력과 브랜드 파워를 갖춘 은행이 사모펀드시장에 본격적으로 진입함으로써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우리은행은 간접투자자산운용법이 개정되면 투자기업의 경영권을 장악할 수 있는 '바이아웃(Buy-out)펀드'를 설정하고 개인투자자에게도 펀드 참여 기회를 제공하는 등 사모펀드를 더욱 활성화할 계획이다.

현행 법상 사모펀드는 경영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안에서 기업에 투자할 수 있다.

그러나 자산운용법이 개정되면 경영권 확보 목적의 투자가 가능해진다.

우리은행은 이번에 설정된 펀드의 투자를 위해 거래기업 가운데 사업성이 우수하다고 판단되는 1천여개의 기업을 대상으로 기술력과 사업성 등을 평가해 삼정 전진중공업 등 3개사를 투자 대상으로 최종 선정했다.

이들 기업에는 9월1일 2백30억원이 투자된다.

나머지 8백70억원도 연말까지 투자될 예정이다.

우리은행은 사모펀드를 중소기업의 △재무 건전화를 위한 중·후순위채 매입 등 구조조정용 투자 △프리IPO(기업공개) 투자 △기업가치 향상 투자 등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할 계획이다.

사모펀드 활성화는 중소기업의 경우 자금 및 자본을 저렴한 비용으로 안정적으로 조달해 기업가치를 높일 수 있고 은행으로서는 새로운 수익원을 창출하는 좋은 기회로 삼을 수 있다는 점에서 '윈-윈전략'의 모델로 평가받고 있다.

이인영 우리은행 기업금융단 부장은 "은행의 여신지원 등은 투자 적격 기업 등으로 대상이 제한되지만 사모펀드를 활용할 경우 투자 부격적 기업도 옥석을 가려 투자할 수가 있다"며 "이번에 투자를 한 기업들은 여신 한도가 꽉 차 추가로 지원을 받기 어려웠던 기업"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모아펀드는 연 수익률 20∼25% 정도를 목표로 잡고 있다"며 "사모펀드가 활성화되면 기관투자가뿐만 아니라 개인투자자에게도 투자기회를 줄 방침"이라고 덧붙였다.

하영춘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