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태 행장 회계엔 침묵 .. 은행경영 "공격 앞으로"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김정태 국민은행장이 회계기준 위반 논란에 대해 발언을 자제하기 시작했다.
대신 비상경영체제를 해제하고 영업력 강화를 강조하는 등 일상 업무에 주력하는 모습이다.
금융계에서는 김 행장이 금융감독당국에 대항하는 모습으로 비춰지는 것을 부담스러워 하는 만큼 회계기준 위반과 징계수위를 둘러싼 논란은 오는 9일 금융감독원의 제재심의위원회와 10일 금융감독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릴 때까지 수면아래로 가라 앉을 것으로 보고 있다.
김 행장은 1일 열린 월례조회에서 "지난 3월부터 실시해 왔던 비상경영을 해제하고 일선지점 중심의 경영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어 "은행 경영의 중심은 영업이며 영업점이 수익창출의 원천"이라며 "본점은 지원부서라는 사실을 인식하고 영업점이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지원해 달라"고 주문했다.
또 "그동안 본점에서 감축한 예산 40억원을 영업점 활동비용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해 오히려 공격 경영에 나서겠다는 의지를 나타냈다.
김 행장은 그러나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회계기준 위반여부와 자신의 징계수위에 대해선 한마디도 언급하지 않았다.
금융감독원이 지난달 26일 김 행장에 대해 중징계 방침을 밝힌 이후 언론 인터뷰 등을 통해 할말은 해왔던 그였기에 전체 직원을 대상으로 한 이날 조회에서도 다시 한번 속내를 드러낼 것이란 대부분의 관측과는 다른 모습을 보였다.
금융계에서는 금융감독당국에 이어 국세청까지 국민은행을 압박하고 있는 상황에서 김 행장이 더 이상의 언급은 별 도움이 안된다는 판단을 한 것으로 풀이하고 있다.
이처럼 김 행장이 한발 빼는 모습을 보임에 따라 회계기준 위반 논란은 오는 9일까지는 소강상태를 보일 것으로 전망된다.
특히 국민은행의 단일 최대주주인 ING그룹의 미셀 틸망 회장이 이번 사태와 관련해 '노 코멘트(아무말도 않겠다)'로 일관하는 등 외국인 주주들도 일단 관망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한편 김 행장이 이날 비상경영체제 해제를 선언함에 따라 그 배경과 국민은행의 향후 행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김 행장은 "상반기 실적은 기대에 미치지 못했지만 하반기에는 훨씬 개선될 것"이라며 "이런 추세대로라면 내년 이후에는 정상경영이 가능할 것"이라고 자신했다.
국민은행은 작년 2분기부터 3분기 연속 적자를 냈으나 올 상반기에는 3천76억원의 흑자로 돌아섰다.
이런 자신감이 비상경영을 해제하게 만든 요인으로 풀이된다.
김 행장은 그러나 "경기가 확실하게 풀렸다는 판단이 들 때까지는 보수적으로 자산을 운용하겠다"며 "방카슈랑스,간접투자상품 판매,모바일뱅킹 확대 등을 통한 수수료 수익 확보에 주력하겠다"고 밝혔다.
하영춘 기자 hayou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