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렁이는 유가] 에너지 어떻게 절약하나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올들어 국제 유가가 고공비행을 지속하면서 기업들의 부담도 커지고 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1980년대 3%를 조금 웃돌던 제조업체의 제조원가 대비 에너지비용 비중은 2002년에는 2.21%까지 떨어졌다.
생산공정 혁신 등을 통해 에너지 효율을 높인 결과다.
그러나 조금만 눈을 돌리면 에너지를 절약할 수 있는 방법은 아직도 많다.
먼저 에너지를 많이 쓰는 사업장은 에너지절약 자발협약(VA)에 참여하자.에너지절약 자발협약이란 기업은 에너지절약 목표와 실천방법 등을 제시하고 정부는 참여기업에 대해 기술과 자금을 지원하고 평가함으로써 공동으로 에너지절약 목표를 달성하는 비(非)규제 시책이다.
사무실에서는 컴퓨터 프린터 팩시밀리 복사기 등을 절전형으로 교체하는 것이 가장 손쉬운 에너지 절약 방법이다.
예컨대 절전형 복사기나 팩시밀리를 사용하면 대기시간에 절전모드로 자동전환돼 전기가 절약된다.
에어컨을 설치할 때도 에너지소비효율 1등급 제품을 구입하면 여름철 냉방에 드는 전기를 아낄 수 있다.
사람의 출입이 빈번하지 않은 복도 현관 베란다 등에도 조도 자동조절 조명기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중소 규모 공장에서는 소용량 열병합 발전을 설치할 것을 권장한다.
20t짜리 보일러를 사용하는 중소 공장이 열병합발전으로 대체할 경우,전력과 열이 동시에 생산되므로 40% 이상의 에너지가 절감된다.
난방은 원적외선 난방을 이용하는 것도 에너지를 아끼는 한 방법이다.
불필요한 공간 난방열이 절약된다.
건조기의 배기시설에 습도센서를 부착하면 자동으로 최적의 수분을 유지하는 수준에서만 습공기를 배출,에너지 사용을 30%가량 줄일 수 있다.
보일러의 경우 노후 보일러의 요로를 교체하고 그을음을 자주 청소하거나 가스분식기를 설치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에너지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다.
또 폐기물 태양열 풍력 등의 대체에너지를 적극 활용하는 것도 기업 차원에서 실천할 수 있는 에너지절약 방안의 하나다.
김동윤 기자 oasis93@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