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가 과거사 진상규명을 위한 입법을 둘러싸고 17대 정기국회 초반부터 격돌하고 있다. 한나라당의 반발에도 불구하고 열린우리당은 표결처리를 강행할 태세여서 양측의 충돌이 불가피한 상황이다. 열린우리당은 2일 정책의총을 열고 과거사 조사를 담당할 '진실화해미래위원회'(가칭)를 독립적이고 실질적인 권한을 갖는 국가기구로 신설할 것을 결의했다. 또 조사기구의 활동범위에 장준하씨 의문사 사건,인혁당 사건,KAL기 폭파사건 등 일제 이후의 의혹사건 등도 포함시키기로 했다. 열린우리당은 이같은 내용을 담은 '진실규명과 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을 오는 23일 발의,정기국회에서 처리한다는 입장을 정리했다. 천정배 원내대표는 "과거사 정리의 취지는 공권력에 의해 인권침해를 당한 억울한 국민의 명예회복과 함께 보상을 해주자는 것"이라며 "과거사 진상조사는 의문사진상규명위와 민주화운동 관련자 명예회복 및 보상심의위처럼 국가기구가 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은 특히 국회 행자위에 계류중인 친일진상규명법 개정안을 3일 단독으로 상정,오는 23일 이전에 본회의에서 표결 처리할 방침이다. 이에 한나라당은 즉각 반발하고 나섰다. 김덕룡 원내대표는 "국가기구를 통한 과거사 규명은 대통령과 여당의 입김이 작용할 수 있는 만큼 반대한다"며 "정치색과 권력의 영향력을 배제하고 중립성 독립성 전문성 등 3가지 원칙이 지켜져야 한다"고 지적했다. 박해영ㆍ최명진 기자 bon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