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내의 갈등이 계파와 주류·비주류 등으로 다각화하고 있다. 주류와 비주류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게 갈등 구도의 큰 줄기다. 주류는 박근혜 대표를 포함한 지도부,소장파,여의도연구소 등을 꼽을 수 있으며 비주류는 이재오 김문수 홍준표 의원 등 이른바 3선 강경파들이 주축이다. 그러나 행정수도 이전,과거사 문제 등 구체적 현안을 들여다 보면 분란은 딱히 주류·비주류 구분없이 얽히고 설킨 양상으로 전개된다. 사안마다 '다각 구도'의 갈등이 빚어지고 있는 것이다. 행정수도 이전의 경우 지도부는 대안 마련 후 찬·반 입장을 정하겠다는 것이다. 반면 의원들로부터 수도이전 반대서명을 받고 있는 비주류는 내달 궐기대회를 여는 등 '원천적 반대' 의사를 굽히지 않고 있다. 그러나 소장 개혁파 중심의 '새정치수요모임'은 2일 '반대 궐기운동'엔 동의하지 않는다며 재서명을 주장하고 나섰다. 서명에 동참했던 주류인 원희룡 최고위원은 오히려 행정수도 이전 '조건부 찬성'을 선언했다. 원 의원은 주류이면서 지도부 및 비주류와도 다른 '제3의 길'을 걷고 있다. 박세일 여의도연구소장이 지난달 연찬회에서 "80년대 이후의 민주화 운동은 좌파의 반체제 운동이었다"고 밝힌데 대해 사사건건 대립해온 비주류와 소장파들은 "적절치 않다"며 같은 목소리를 내고 있다. 박 대표의 '유신 사과'문제에 대해서도 이들은 같은 입장을 나타내고 있다. '깨끗하게 사과하고 털고 넘어가자'는 것이다. 여기에는 박 대표의 '이념적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소 측도 가세,그와 다른 입장을 보이고 있다. 당내 최대 세력인 영남권 보수파들은 주류·비주류 사이를 '왔다 갔다'하고 있다. 유신 사과에 대해선 "그럴 필요가 없다"며 박 대표를 지지하고 있다. 그러나 행정수도 이전에 대해선 대체적으로 지도부의 의사와 달리 "당장 반대해야 한다"는 기류가 강하다. 비주류와 뜻이 같다. 현안에 따라 선택적으로 주류·비주류와 공조하고 있는 셈이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