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우라늄 분리실험 이달 IAEA선 안다룰듯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는 원자력연구소의 우라늄 분리실험이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안전조치협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예단할 수 없으나 그리 심각한 문제가 아닌 만큼 IAEA이사회나 총회에서는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또 일부 외국 언론이 무기급의 농축우라늄을 추출했고 한국정부가 이를 사전에 인지했으며 그동안 IAEA의 임시사찰을 거부해왔다고 보도한데 대해 국제적 파장을 우려하면서 적극 대처에 나섰다.
외교부 당국자는 3일 "오는 20~24일 오스트리아 비인에서 열리는 IAEA 총회에서 이번 농축실험 사안이 다뤄지지 않을 것"이라며 전망했다.
IAEA사찰팀은 4일까지 한국원자력연구소 농축실험 장소에 대한 사찰을 마치고 오는 13~16일 IAEA이사회에 사찰결과를 구두 보고할 예정이다.
하지만 정밀 보고서 작성에는 최소 2개월 이상이 소요되는 만큼 오는 20일 개최될 IAEA총회에서는 이번 농축실험 문제가 논의될 가능성은 희박하다고 예상했다.
이 당국자는 또 외국 언론의 보도에 "무기급으로 농축된게 아닌 것으로 알고 있다"며 "지난 8월 국제원자력기구(IAEA)보고서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처음으로 정부측에서 우라늄 농축실험을 한 것을 파악했다"고 말했다.
그는 특히 "정부가 개입돼 있는 것 아니냐는 일부의 주장은 터무니없다"고 강조했다.
이와관련,리처드 바우처 미 국무부 대변인은 3일 정례브리핑을 통해 "한국의 농축 실험은 해서는 안될 일이었다"며 "IAEA의 조사가 끝나면 미국과 다른 IAEA 이사국들이 적절한 결론을 내리고 그에 따라 조치도 취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바우처 대변인은 그러나 "한국이 자진 신고하고 IAEA의 조사에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협조하고 있어 더 이상 우려할 사안은 아니다"며 "이 문제가 북핵관련 6자회담에 어떤 영향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덧붙였다.
호소다 히로유키 일본 관방장관은 "국제원자력기구(IAEA) 틀 속에서 관리돼야 할 것(고농축우라늄)이 누락된 것은 사실이며 이는 유감"이라며 "만약 한국의 이같은 움직임이 핵무기 개발을 위한 것이라면 일본은 용납할 수 없다"고 말했다.
오춘호.정종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