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중소기업과 비교해 대기업 노동시장이 덜 유연하다고 보고, 대기업 노동시장의 유연성을 높여나가는 방안을 모색키로했다. 우리당 노사정대타협추진위원회(위원장 임채정.林采正)는 3일 오후 비공개 전체회의를 열고 대기업 노동시장이 경직돼 경쟁력 강화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노동시장 유연화 방안을 마련, 적극 추진키로 했다. 노사정대타협추진위 간사인 이목희(李穆熙) 제5정조위원장은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 "대기업의 경우 단체협약에 의해 노동자의 해고가 어려운 것은 물론이고, 한사업장에서 `배치전환'도 쉽게 못하도록 돼 있는 등 유연성이 결여돼 있다"며 조만간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겠다고 밝혔다. 이 위원장은 "우리나라 중소기업은 외부에 알려진 것과는 달리 노동시장 유연성이 높은 반면, 자동차 등 노조의 조직력이 강한 일부 대기업의 유연성이 현저히 약화돼있다"며 "단체협약을 강제하지 않고 유연화를 추진할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우리당은 정부와 정당, 노사, 학계 관계자 등이 참여하는 `노동시장개혁 토론회'를 이달내 개최키로 했다. 이와 함께 우리당은 공무원노조법, 퇴직연근법, 기간제근로자 보호법, 고용평등촉진법, 파견근로자법 등 노사관련법을 이번 정기국회에서 처리한다는 방침을 정한것으로 알려졌다. 이 위원장은 "대기업 노동시장 유연화와 함께 남녀간, 학력간, 대기업.중소기업간, 정규직.비정규직간 노동시장의 차별요소를 줄이는 방안도 강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대한상공회의소는 지난 2일 `일본 사례로 본 주40시간 근무제와 생산성 향상 방안' 보고서를 통해 ▲근로시간 탄력화 ▲고용형태 다양화 ▲성과연계형 임금제도입 등의 방법으로 노동환경을 유연화함으로써 근로시간 단축에 따른 생산성 약화를 피할 수 있었다고 소개했다. (서울=연합뉴스) 전승현기자 shchon@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