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전자특허행정에 대해 세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앞으로 세계 최고의 특허 행정서비스 모델을 만들어내도록 온힘을 다하겠습니다."


김종갑 신임 특허청장(53)은 7일 특허청 서울사무소에서 인터뷰를 갖고 "특허청을 혁신의 모범이 되는 정부기관으로 만들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김 청장은 "철강,반도체분야의 국내 기업은 세계 최고를 바라보고 있는데 정부기관이 이에 보조를 맞추지 못해서는 곤란하다"며 "기업에 최고 수준의 기술정보를 제공해 기술개발의 방향을 제시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또 "특허청은 공정하고 신속한 특허심사에 최우선 목표를 두고 있다"며 "심사관을 늘려 현재 22개월이나 걸리고 있는 특허 심사기간을 2007년 이전에 12개월로 대폭 줄이겠다"고 설명했다.


김 청장은 "최근 해외기업들의 특허공세가 거세지고 있다"며 "이에 대비해 해외 지식재산권센터의 역할을 강화하고 지식재산권 관련 설명회를 개최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또 "지방 중소기업들이 기술을 특허화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31개 지역 지식재산센터를 활성화해 지역간 균형있는 기술발전을 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김 청장은 1975년 행정고시에 합격해 줄곧 산업자원부에 몸 담아 오면서 미주통상과장,산업기술국장,산업정책국장 등을 지냈다.


96년 미주통상과장 재직 때는 '미 통상법 슈퍼 301조 협상'을 주도했으며 99년부터 2년간 산업기술국장을 지내면서 특허기술 사업화에 힘을 쏟기도 했다.


임도원 기자 van7691@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