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수 정보통신부 정보통신진흥국장은 9일 "휴대인터넷 사업은 시간과의 싸움이기 때문에 빠른 시일내에 서비스가 이뤄질 것"이라며 "2006년 상반기까지 서비스를 실시토록 허가조건에 명시할 것"이라고 말했다. 김 국장은 이날 휴대인터넷 사업자 선정과 관련한 브리핑에서 W-CDMA(광대역 코드분할다중접속)처럼 휴대인터넷 사업도 제대로 활성화되지 않을 가능성이 없냐는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김 국장은 또 휴대인터넷 서비스 개시후 3년내에 가입자 500만명을 달성하면 서비스가 초기 시장위험을 극복하고 안정적 성장단계에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기 때문에 초고속인터넷.이동전화시장의 기간통신사업자에게 MVNO(가상 이동통신망 운영사업자) 형태로 휴대인터넷 시장에 진입하도록 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출연금을 3개월 이내에 완납하도록 한 것은 현 시장 상황상 무리 아닌가. ▲개별 사업자로 보면 1천200억원 수준이다.과거 IMT-2000때에는 주파수를 15년간 주면서 1조3천억원을 거뒀다. 휴대인터넷의 경우에는 주파수 유효기간이 7년이다. 다른 사업과 동일하게 예상매출액의 3%를 출연금으로 내도록 한 것이다. 적정하다고 생각한다. --휴대인터넷 사업이 성공할 수 있다고 보나 ▲현재로서는 시장에서 생존능력이 있다고 보지만 기술이 어떻게 발전할 지 예측할 수 없다. 나중에 기술의 진보에 맞춰 그때그때 정책을 변경해야 할 것이다. 현재로서는 휴대인터넷 사업이 투자 대비 효율성이 매우 높다고 본다. --당초 SK텔레콤이나 KT는 자회사를 통해 사업을 하도록 했다가 포기한 이유는. ▲새로운 사업에는 여러가지 불확실성이 있다. 공정한 경쟁과 시기에 맞는 시장진출(Time to Market)이라는 점도 고려했다. 아울러 투자 여력이 중요한데 자회사형태로 투자하기보다 본체가 직접 투자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중복투자 방지를 위해 기지국 공용화 등을 강제할 방법은. ▲경쟁 활성화와 중복투자 방지는 서로 반대되는 개념이다. 심사기준에 기지국공용화를 비계량항목의 하나로 넣어 심사위원들이 평가하도록 할 계획이다. --단말기는 충분히 공급되나. ▲삼성전자가 내년말이면 단말기를 공급하기 시작하고 LG전자, 포스데이터도 준비하고 있다. 부산ITU(국제전기통신연맹)에서 인텔이 휴대인터넷 단말기를 출시하겠다고 발표하기도 했다. 단말기의 문제는 없을 것이다. --주파수 분배공고는 언제되나. ▲10월말께 공고가 될 것이다. 허가 및 심사기준도 10월말까지 마련해 발표할예정이다. (서울=연합뉴스) 류현성 기자 rhew@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