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추석 선물은 '입'으로 대신해야 할 것 같습니다." 정치권이 극심한 돈가뭄에 시달리면서 의원들의 추석 선물 관행이 달라지고 있다. 올해초 개정된 정치자금법은 의원들의 후원회 모금행사를 금지하고 있다. 또 연간 1백만원 이상 후원금은 익명으로 기부할 수 없도록 하고 있어 의원들의 돈줄을 바짝 죄고 있다. 자연히 의원들은 지인들에게 추석 선물하는 것을 엄두도 못내고 있다. 여기에다 명절 선물 등 불법 기부 행위를 엄하게 처벌토록 하고 있는 것도 '선물 없는 추석'에 일조하고 있다. 이 때문에 추석 연휴를 앞두고 선물 증정 대신 안부전화가 늘어날 전망이다.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가 최근 추석 선물을 받지 않겠다고 공언한 것도 이런 정황을 감안해 나온 것이다. 열린우리당 정장선 의원은 12일 "추석을 맞아 가까운 분들에게 카드를 보낼까 생각하고 있다. 그마저도 선거법에 문제가 된다면 그냥 전화로 인사만 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김영춘 의원은 "정치인의 지출 중 명절에 도와준 분들에게 선물하는게 큰 몫이었다"며 "다같이 안 하면 불안할 것도 없다"고 강조했다. 한나라당 최경환 의원은 "후원회 제도도 없어져 특히 초선은 후원금을 마련하는데 어려움이 많다"며 "추석이 되면 평소 도와준 사람에게 술 한병이라도 선물하는 게 미풍양속인데 인간적인 도리를 못하는 것 같아 죄송스럽다"고 말했다. 유기준 의원은 "세비만으로는 지역 사무실 운영도 빠듯해 추석에는 양로원을 방문하는 등 몸으로 때울 수밖에 없다"고 어려움을 털어놨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