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 건립될 가구수를 기존 가구수보다 줄이는 등 재건축단지들이 각종 재건축 규제를 돌파하기 위한 묘안 찾기에 나섰다. 15일 업계 및 재건축조합측에 따르면 서울 강남구 논현동 경복아파트와 대치동 은마아파트는 소형평형 의무비율을 비껴가기 위해 기존 아파트의 전용면적을 아예 늘리지 않거나 새로 지어질 아파트의 가구수를 기존 가구수보다 오히려 줄이는 방안을 적극 검토하고 있다. 또 잠실1단지는 내년 개발이익환수제 시행 직전에 일반분양을 끝내기로 하고 여기에 맞춰 모든 사업일정을 거꾸로 잡았다. ◆가구수가 줄어드는 재건축 지난해 9월 조합설립 인가를 마친 서울 강남 논현동 경복아파트는 재건축을 통해 신규로 건립할 가구수를 2백99가구로 계획하고 있다. 31평형과 42평형 등 모두 3백8가구로 구성된 기존 단지보다 9가구 정도가 줄어드는 셈이다. 한 가구라도 더 지어 조합원들의 부담금을 줄이려는 일반적인 사례에 비춰볼 때 상당히 이례적이다. 이에 대해 시공사인 대림산업 남부사업소 김진하 차장은 "소형평형 의무비율을 비껴가기 위한 고육책인 셈"이라고 말했다. 지난해 '9·5'부동산대책 이후 재건축을 통해 새로 짓는 아파트는 △전용면적 18평 이하 20% △전용 25.7평 이하 40% △전용 25.7평 초과 40% 비율을 맞추도록 규정돼 있다. 다만 전체 가구수가 3백가구 미만으로 신축할 때는 전체 가구수의 60%를 전용 25.7평 이하(30평형대)로만 지으면 된다. 결국 3백가구 이상으로 지을 경우 20평형대 아파트를 의무적으로 지을 수밖에 없고 기존 31평형에 살던 조합원이 20평형대로 평수를 줄여가는 상황을 피하기 위한 고육지책이라는 설명이다. ◆전용면적 그대로 재건축규제로 사업 추진이 제자리걸음을 하고 있는 대치동 은마아파트도 20평형대 아파트를 짓지 않기 위한 묘안 찾기에 나서고 있다. 기존 최소평형이 31평형이어서 소형평형 의무비율을 지켜 사업을 추진할 경우 역시 평수를 줄여가는 조합원들의 반발이 만만치 않아서다. 지난 5월 임시총회를 열어 기존 평형의 전용면적을 변동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재건축 추진을 설명한 것도 이 때문이다. 전용면적은 늘리지 않고 분양 평형만 5평형 정도 늘리고 재건축을 통해 늘어나는 용적률은 30평형대 아파트를 신축하는 내용이었으나 조합원들을 설득하는 데는 실패했다. ◆일반분양에 맞춰 사업일정 역산(逆算) 서울 송파구 잠실저밀도 단지 가운데 사업추진이 가장 늦은 잠실1단지 재건축조합은 최근 모든 사업일정을 내년 3월 일반분양에 맞춰 다시 짰다. 이에 따라 △일반분양승인 신청은 내년 3월초 △관리처분인가 및 조합원 분양은 내년 1월 △관리처분총회는 올 11월로 정하는 등 나머지 일정이 거꾸로 계산돼 잡혔다. 이는 내년 개발이익환수제 실시 전에 일반분양을 마쳐 임대아파트를 짓지 않기 위해서다. 조합관계자는 "너무 일정이 빠듯한 것은 사실"이라며 "하지만 많은 조합원들이 내년 3월 일반분양을 못하게 되면 개발이익환수제 대상에 포함된다는 걸 알고 있어 문제는 없을 것"이라고 자신했다. 5천3백90가구에 이르는 잠실 1단지는 현재 이주 중이다. 김동민 기자 gmkd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