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노총 금속연맹이 단위노조 가운데 세번째로 큰 현대중공업 노조(위원장 탁학수)를 제명처분했다. 민주노총 금속연맹은 15일 참석 대의원 2백64명 가운데 87%인 2백32명의 찬성으로 제명을 최종 결정했다. 이로써 지난 2월 현대중공업에서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요구하며 분신 사망한 고 박일수씨 사건으로 촉발된 민주노총 금속연맹과 현대중공업 노조간 갈등은 현대중공업 노조의 제명이라는 극단 처방으로 일단락됐다. 현대중공업 노조는 이에 대해 "제명의 부당성을 알리기 위해 재심을 청구하겠다"면서도 공식 입장은 유보했다. 하지만 이미 독자노선을 취하겠다는 방향으로 가닥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현중 노조가 상급 단체인 민주노총과 돌이킬 수 없는 결별수순에 들어감에 따라 노동계 구도에도 대 격변이 불가피하다. ◆사태의 발단=현중 노조가 민노총과의 갈등관계에 빠진 것은 지난 2월 회사 내 비정규 근로자인 박일수씨가 분신자살을 하면서 촉발됐다. 사건이 발생하자 민노총 금속연맹은 즉각 분신대책위를 구성,사회적 이슈인 비정규직 문제와 연계해 투쟁을 확대했다. 이에 맞서 현중노조는 "분신사태가 정치적으로 악용되고 있다"며 "노조를 배제한 어떤 협의도 용납하지 않겠다"는 강경자세를 펴면서 사태는 꼬여갔다. 급기야 현중노조는 박씨 분신사건 이후 3월부터 매달 금속연맹에 납부해온 연맹비를 8개월째(약 3억2천만원) 거부하게 됐고 이에 맞서 민노총 금속연맹은 제명결정을 내렸다. ◆산별과 단위기업 노조간 갈등 표출= 표면적으로 보면 이번 사태는 비정규직 문제에 대한 노동계 내부의 균열로 보이지만 속내를 보면 대기업 노조와 상급 단체간의 힘겨루기 양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민노총의 산별노조 위상강화 방침과 개별 기업노조 중심으로 이뤄져온 그간의 노동운동 관행이 충돌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풀이된다. 현중노조에 이어 최근 보건의료노조도 보건의료노조의 핵심 세력인 서울대병원노조 지도부의 징계를 검토하고 있다. 양측간 갈등이 폭발한 것은 지난달 체결한 사용자측과의 산별합의 내용이 빌미가 됐다. ◆향후 노동운동 변화 전망=노동 전문가들은 "현재 조직노동자는 1989년 이래 꾸준히 감소해 전체 노동자의 12%도 안 된다"면서 "현중 제명사태는 민노총 등 상급 단체의 노동운동 방향이 대기업 중심에서 비정규직과 중소기업 노조 중심으로 이동하는 도화선이 될 것"이라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그동안 민노총이 임단협 위주의 '전투적 투쟁'을 해마다 되풀이하면서 주된 동력원을 현대차 등 대기업 노조에 의존함으로써 빚어낸 결과로 풀이된다. 즉 대형 사업장 노조들은 임단협 기간에는 민노총의 노동운동에 주된 동력원 역할을 하면서도 고율의 임금인상과 복지 등의 목적을 달성하면 비정규직 등의 문제를 외면하는 경향이 강해지면서 민노총은 심각한 딜레마에 빠지게 된 것이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