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원자력기구(IAEA)가 한국의 '핵물질 실험'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표명한 가운데 외교통상부가 주요 국가들을 상대로 우리입장을 알리고 설득하기 위한 막판 외교전을 강화하고 나섰다. 조창범 주 오스트리아 대사는 15일 미국과 일본 등 IAEA에 내에서 큰 영향력을행사하고 우리와 평소 긴밀하게 협조해왔던 7개국 대표들을 별도로 오찬에 초청해 '핵물질 실험'에 대한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 조 대사는 "핵심 우방 대표들에게 논란거리가 된 실험들은 과학자들이 정부에보고하거나 승인받지 않은 채 학문적 과욕에서 실험실 내에서 연구 목적으로 한 단발적인 성격의 것이며, 오래 전의 일임을 재차 설명했다"고 밝혔다. 또 한국이 핵확산금지조약(NPT) 체제 준수를 공약하고 한반도 비핵화를 천명했음을 강조하면서 이번 일은 NPT 안전조치협정 부속 협정에 서명한 후 자발적으로 신고하는 과정에서 뒤늦게 드러난 것일 뿐이라는 점을 집중 설득했다고 조대사는 말했다. 이에 대해 참석 대표들은 우리 측 설명에 이해를 표시하면서 일부 외신의 과장보도와 억측으로 IAEA와 NPT체제에 대한 혼란이 조성되고 있으므로 한국 사안에 대한 조사와 보고를 신속하게 진행, 11월 4분기 이사회에서 마무리 짓자는 데 의견을같이 했다고 조대사는 전했다. 주요국 대표들은 이 자리에서 이번에 불거진 '핵물질 실험'에 핵심적으로 관연한 한국원자력연구소의 조직 성격과 정부와의 관계에 대해 깊은 관심을 표명했다. 우리측은 이에 대해 ▲원연 예산의 일부와 구체적 사업의 비용 일부를 정부가지원하지만 민간사업 수주 등 자체사업으로 비용을 주로 조달하며 ▲독립된 연구기관이어서 일상적 연구활동을 정부에 보고하지 않으며 ▲연구원들이 관용여권이 아닌일반여권을 발급받는 민간인이라는 점 등을 설명했다. 이날 설명회엔 미국, 일본, 러시아, 영국, 독일, 호주, 뉴질랜드 등 7개국 대표들이 참석했다. 주 오스트리아 대표부와 오준 외교통상부 국제기구협력국장 등은 이에 앞서 지난 14일엔 중국과 중남미 대표격인 아르헨티나, 비동맹국(NAM) 대표인 말레이시아등 3개국 대표를 오찬에 초청, 우리 입장을 설명했다. 반기문 외교통상부장관은 15일 국회 통일외교통상위에 출석, 오는 24일 유엔총회 기조연설을 통해 우라늄 분리 및 플루토늄 추출 등의 실험에 대한 사실관계를 설명하고 정부의 확고한 "핵 비확산 의지 및 핵 투명성 정책"을 재천명할 예정이라고밝혔다. (빈=연합뉴스) 최병국 특파원 choibg@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