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이부영(李富榮) 의장은 16일 국가보안법 폐지와 관련, "인권탄압 가능성을 제거하고, 안보에 조금이라도 우려되는 측면은 반드시 보완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 의장은 이날 서울대 정치학과.외교학과 총동창회(회장 김 구) 초청 토론회에참석, "대한민국이 더이상 인권탄압국이 아니란 것을 보여줘야 하며,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가입이 진정한 의미를 가지려면 국보법이란 야만적 악법은 폐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의장은 "91년 노태우(盧泰愚) 대통령 시절 남북이 유엔에 함께 가입하면서이미 국보법의 반국가단체 의미는 국제적으로 사라졌다"면서 "남북간 국가적 정통성경쟁을 벌여야 할 시점에 우리는 과거사, 친일정리 등에 있어서 굉장히 부족한 면이북쪽에 비해선 많다"고 덧붙였다. 여권의 국보법 폐지방침에 대한 보수원로들의 비판과 관련, 그는 "전직총리들이재직당시 억울하게 인권탄압으로 죽고 고문당한 사람들을 찾아가 위로하고 사과라도했으면 섭섭하지 않을 것"이라며 "그것도 없이 자유민주주의를 위해 그런 일 한다고하면 누가 납득하겠냐"고 반박했다. 그는 또 종교재판에 대한 가톨릭의 회개와 남아공 백인정부의 인종차별에 대한반성 등을 사례로 들면서 "그런 정치가 보수쪽에서는 왜 안나오는지 답답하다"고 지적한뒤 조선.동아일보 기자 해직사태에 대한 사과를 요구했다. 이 의장은 "열린우리당은 전체적으로 개혁중도정당이며, 참여정부의 정치적 성격은 개혁세력으로서 중도개혁적인 성격을 가졌다"고 강조한뒤 경찰에 초동수사권을주는 등 검찰과 경찰의 수사권 분리 필요성도 제기했다. (서울=연합뉴스) 안수훈 기자 ash@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