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천에 남아 있는 폐철도의 교각은 관리권은누구에게 있을까." 당연히 철도 관련기관에 있을 것으로 보이나 철도시설을 관리하고 있는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이 폐교각의 관리소관이 자신들에 없다는 입장을 밝혀 철거를 추진중인 자치단체들을 난감하게 하고 있다. 16일 양양군에 따르면 양양 남대천에 남아 있는 동해북부선의 폐교각 26개 가운데 하천구역 내에 들어가 있는 21개를 철거해 줄 것을 지난달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에 요청했다. 양양군은 "하천에 수십 년째 방치되고 있는 폐교각이 미관을 해칠 뿐 아니라 폭우시 물흐름에 방해를 줘 주변지역의 홍수가 우려된다"며 협조를 구했다. 하지만 한국철도시설관리공단은 최근 양양군에 "해당시설물의 관리소관이 공단에 없으니 해당자치단체가 하천정비사업으로 철거하는 것이 타당하다"는 내용의 답변을 보내와 시설물 철거를 둘러싸고 논란이 일 것으로 보인다. 철도시설관리공단은 답변서에서 "폐 교각이 하천부지 내에 위치하고 시설물의관리소관이 철도청 또는 철도시설관리공단이나 건설교통부에도 속하지 않으므로 당해 시설물의 철거는 하천정비사업에 포함하여 양양군이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판단된다"고 밝혔다. 이에따라 양양군을 비롯해 속초시와 고성군 등 동해북부선 폐교각 철거를 추진하고 있는 영동북부지역 3개 시,군은 "사용하지 않는 폐철도의 교각이라지만 엄연히이 시설물은 철도시설이 아니냐"며 "철도시설관리공단의 관리소관이 아니라는 것은이해하기 힘들다"는 반응이다. 양양군 관계자는 "시설물을 철거해야 하는 자치단체 입장에서는 난감할 뿐"이라며 "양양군이 예산을 들여 교각을 철거하는 길 밖에 없을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한편 영동북지역에는 남,북 분단으로 폐지된 동해북부선과 관련, 100여 개가 훨씬 넘는 흉물스런 폐교각들이 각 하천에 수십 년째 그대로 방치되고 있어 미관을 저해하는 것은 물론 홍수시 물흐름에도 방해를 주는 등 철거가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양양=연합뉴스) 이종건 기자 momo@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