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년내 에너지대란 불보듯…원전센터 18년째 '제자리'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정부가 1986년 이후 추진해 온 원전센터(원자력발전 수거물 관리시설) 건립계획이 예비단계에서 사실상 백지화,국내 전력 생산의 40% 이상을 맡고 있는 원자력 발전이 수거물 처리를 못해 가동에 어려움을 겪게 됐다. 또 전력공급을 늘리기 위해 추진돼온 신(新)고리 1,2호기와 신월성 1,2호기 등 추가원전 건설사업도 정부가 환경단체 등을 의식해 허가를 지연,착공이 6개월 이상 미뤄지고 있다.
이에 따라 에너지의 대부분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한국이 최근 국제 석유가격 급등으로 큰 홍역을 치르고 있는 데 이어 원전 가동마저 차질을 빚을 경우 훨씬 심각한 에너지 대란(大亂)을 면키 어려울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16일 이희범 산업자원부 장관은 "지난 15일 자정 마감한 원전센터 부지선정 예비신청에 한 곳의 지방자치단체도 신청서를 제출하지 않았다"며 "가능한 한 10월 안에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여당인 열린우리당이 원전센터 건립 여부 자체를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반핵국민연대(44개 환경관련단체 연합)의 요구를 수용,일부 원전의 가동엔 차질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원전 수거물 저장고는 오는 2008년 울진 원자력발전소를 시작으로 포화상태에 들어가며 앞으로 1년 이내에 원전부지 문제가 해결되지 않으면 최악의 경우 원전 가동을 일부 중단해야 할 것으로 우려되고 있어서다.
산업자원부 관계자는 "지난해 국내 총 발전량 가운데 원자력이 차지한 비중은 전년(38.9%)보다 1.3%포인트 상승한 40.2%에 달했다"며 "원전 가동에 차질이 빚어질 경우 고유가 쇼크보다 몇 배 심각한 에너지 대란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또 한국형 원자로를 개발,해외 각지에 수출하는 등 탄력을 받아온 국내 원자력 관련 기술도 퇴행 위기에 몰리게 됐다.
정부가 최근 중동의 아랍에미리트에 국내 기술로 독자 개발한 해수 담수화용 한국형 일체형 원자로(일명 SMART)를 수출키로 양해각서를 맺는 등 '한국형 원자력기술'은 해외에서 주목받아 왔다.
이정호 기자 dolp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