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간점검! 서울뉴타운] <下> 남은과제는...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뉴타운 개발의 전략수립같은 큰 그림은 서울시가 그린다. 하지만 실제 재개발 사업은 철저히 주민 스스로 추진해야 한다
뉴타운 사업은 '민영 개발' 방식이기 때문이다.
이런 이유로 해당 지역 주민들의 적극적인 협조가 없으면 사업이 제대로 굴러가기 어려운 측면이 있다.
그러나 은평 등 3개 시범지구를 포함해 이미 지정된 15개 뉴타운 지구 모두에서 서울시 계획에 반발하는 주민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잇따라 터져나오는 주민들의 불만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하면 "화호유구"(畵虎類狗.호랑이를 그리려다 고양이를 그림)식 전시행정으로 끌날 수 있다는 지적도 제기된다.
◆'내 몫'은 어디에
"얼마 전 새로 지은 집도 계획(안)에 따르면 헐려야 할 처집니다.
제대로 보상해 줄 것도 아니면서 이래도 되는 겁니까."(은평구 김모씨)
서울시의 뉴타운 계획에 반대하는 주민들은 주택 및 상가 세입자와 임대소득 생활자,신축 건물주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들은 뾰족한 이주 및 생계대책도 없이 뉴타운사업이 추진되는 데 대해 불만이 크다.
여기에다 노후주택을 헐고 뉴타운으로 개발하더라도 과거 재개발사업 때처럼 시세차익을 크게 기대할 수 없다고 주민들은 주장한다.
중화 뉴타운 선정지역에 살고 있는 김모씨(53)는 "뉴타운으로 재개발하기 위해 집을 가진 사람도 별도 비용을 내야한다는 데 부담을 느낀다"고 말했다.
◆10년 뒤를 보면 '이득'
서울시는 어느 정도 예상하긴 했지만 뉴타운 사업이 본격화되면서 주민 반발이 잇따르자 난감해하는 눈치다.
당장 주민들의 과도한 보상 기대 등을 어떻게 설득해야 할지를 놓고 고심하고 있다.
세입자나 건물주들이 주로 반발하는 계층인 점을 고려,이들의 거주실태 등을 면밀하게 파악하기 위한 작업에도 착수했지만 반대파 주민을 설득하는 데 얼마나 도움이 될지는 미지수다.
최창식 서울시 뉴타운사업본부장은 "뉴타운은 기본적으로 주민들이 지역별로 조합을 정해 자율적으로 결정하고 건설해야 한다"며 "일부의 과도한 욕심은 다른 사람의 이익을 빼앗는 형태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조합에서 합리적으로 조정하지 못하면 사업이 어려워진다"고 말했다.
김수언·이태명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