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의 '수도권대 특성화사업' 발표로 수도권 지역 대학의 경쟁 및 구조조정이 본격화될 전망이다. 대학들이 '특성화'를 무기삼아 저마다 경쟁력을 강화중인 가운데 교육인적자원부가 몇몇 대학의 경쟁력만을 인정한 셈이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수도권 지역의 4년제 대학 72곳 가운데 선정된 27곳은 정부의 지원을 바탕으로 경쟁력을 더욱 높일 기회를 얻은 반면 떨어진 대학은 대학간 경쟁에서마저 탈락할 위기를 맞았다. ◆수도권 대학 중 37%만 지원=교육부는 학생수 1만명 기준으로 규모를 나눈 뒤 대규모 20개 중 11개,중·소규모 52개 가운데 16개 대학을 선정했다. 수도권 대학 72개 중 37%인 27개 대학만 지원하는 것. 대규모 대학(지원금액순)에선 기초교육 사업을 신청한 △서울대와 △한양대 △이화여대 △중앙대 △성균관대 △고려대 등이 선정됐고,중소규모에선 물류전문인력 양성사업을 낸 인천대와 △서울시립대 △세종대 △숙명여대 △서강대 등이 뽑혔다. 대규모 대학에는 27억2천~41억5천만원,중·소규모에는 8억9천~18억4천만원을 지원한다. 주요대학 중 건국대와 경희대, 단국대, 동국대, 한국외대 등이 선정되지 못했다. ◆경쟁력 격차 생길까=선정된 대학은 경쟁력을 강화할 기회를 잡았지만 탈락한 대학은 비상이 걸렸다. 특히 교육부는 내년부터 특성화 사업을 '3~5년 규모'로 확대하고 지원액도 크게 늘릴 계획이다. 교육부 이대열 평가지원과장은 "올해 선정된 대학은 특별한 하자가 없는 한 내년에 시작되는 다년 사업에서도 계속 선정될 가능성이 높다"며 "올해 뽑힌 27개 대학 중 지난해 선정됐던 대학이 11개에 달한다"고 말했다. 중앙대 김창수 기획조정실장은 "전국의 대학이 특성화를 통한 경쟁력 강화를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에 정부지원 37억원과 학교 대응투자 10억여원 등을 특성화 분야에 집중투자하면 다른 대학과 상당한 격차를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양대 오재은 기획조정처장도 "이번 사업은 수도권 각 대학이 특성화 사업으로 간판사업을 내놓고 평가받은 것"이라며 "지원규모가 프로젝트당 30억원이 넘는 대형사업으로 지방대 대상의 누리사업과 맞먹는다"고 말했다. 반면 탈락한 K대학 관계자는 "학교 발전전략 차원에서 여러가지 특성화 사업을 계획하고 있는데 이번 사업에서 탈락해 차질을 빚게 생겼다"고 침울해 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