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들은 고유가 등 외부 요인보다는 경제정책 혼선 등 대내적 요인이 경기 침체에 더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한상공회의소는 서울 소재 2백20개 기업을 대상으로 '경제활성화 대책에 대한 기업 인식'을 조사한 결과 대외 요인보다는 대내 요인이 경기 침체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친다는 응답이 63.2%에 달해 외부 요인이 더 크다는 응답(23.6%)보다 훨씬 많았다고 19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정부가 경기 회복을 위해 대내적인 불안 요인을 해소하는 데 보다 정책의 초점을 맞춰야 할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들은 경기 침체의 대내적 요인으로 △미래에 대한 불안심리 지속(35.5%) △경제정책의 혼선(28.6%) △정치권의 리더십 부족(21.4%) △각종 규제(9.1%) △노사문제(3.1%) △반기업적 정서(2.3%) 등을 꼽았다.


경기 회복에 장애가 되는 대외적 요인으로는 '고유가 등 원자재난'(70.0%)을 가장 많이 꼽고 △선진국 경기 호조세 둔화(16.8%) △중국의 긴축정책(9.1%) △미국 금리 인상(3.2%) △미국 경기 침체(0.9%) 순으로 응답했다.


조사에서 기업들은 정부의 재정확대나 감세정책이 경기 활성화에 실질적인 효과가 있다고 보느냐는 질문에 전체의 70.0%가 '다소 효과가 있지만 심리적인 것에 불과하다'고 답했고 '매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응답은 3.6%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경제 활성화 정책의 시행시기에 대해서도 '약간 늦은 감이 있다'는 응답이 61.4%에 달했고 '시기상 적당하다'는 응답은 10.5%에 불과했다.


기업들은 전반적으로 경제 활성화 정책에 대해 부정적인 인식(48.6%)이 긍정적인 인식(15.9%)을 크게 상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구학 기자 cgh@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