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중.고교에 설치돼 있는 정수기 30대 중 2대꼴로 대장균을 비롯한 일반세균이 기준치 이상으로 검출되는 등 먹는물 수질에 문제가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생들이 손으로 정수꼭지를 만지거나 입을 대고 물을 마시는 등 비위생적인 사용 습관에서 비롯되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29일 서울시 교육청에 따르면 4∼6월 서울시내 초.중.고교 1천188개교에 설치된정수기 1만1천695대의 수질을 분석한 결과, 6.1%인 717대의 정수기에서 일반세균과대장균이 검출됐다. 초등학교 544개교에 설치된 정수기 5천252대에서는 4.9%인 258대, 357개 중학교에 있는 3천570대 중 7.2%인 258대, 287개 고교 2천873대 중 6.7%인 201대가 각각부적합하다고 판정받았다. 이에 따라 교육청은 717대의 정수기 중 33대를 철거.교체했으며 684대는 청소.소독 조치를 취했다. 일반세균은 먹는물 수질 기준인 100CFU/㎖(물 1㎖당 세균 100개체) 이하를 초과한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일반세균이나 대장균에 오염된 물을 마실 경우 식중독 사고가 일어나기도한다. 지난 1∼3월 수질 검사 때도 1천33개교에 설치된 9천848대의 정수기 중 6.5%인635대가 세균 검출로 인해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는 점에서 고질적 문제로 비치고 있다. 교육청 관계자는 "정수기 필터를 3개월 단위로 정기 교체하고 있다"며 "원수인수돗물에서 대장균이 검출될 수 없다는 점에서 볼 때 학생들이 정수꼭지에 입을 대고 물을 마시는 등 비위생적인 사용습관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교육청은 주기적 필터 교체와 철저한 주변 청소, 올바른 사용법 교육등을 통해 학생들의 사용 부주의에 따른 냉.온 정수기 오염을 막기로 했다. (서울=연합뉴스) 심규석기자 ks@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