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2일 이스라엘군의가자지구 공격으로 50여명의 사망자가 발생하는 등 전면 무력충돌로 치닫자 팔레스타인 전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했다. 자치정부는 이스라엘이 지난주초 팔레스타인 무장단체의 로켓 공격에 대한 보복군사작전을 개시한 이후 최소 56명의 팔레스타인인들이 숨졌다고 밝혔다. 2일 하루동안에만 이스라엘군 헬기의 공습으로 3명이 사망하는 등 11명의 희생자가 추가 발생했다. 이스라엘은 하마스 등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의 카삼 로켓 공격으로 인명피해가늘어나자 지난달 28일부터 200여대의 탱크를 앞세우고 가가지구에 대한 무기한 보복공세에 나섰다. ◇ 비상사태 선포 = 사태가 악화되자 팔레스타인 내각은 비상 각의를 열어 대책을 논의한뒤 "가자지구 주민들을 지원하기 위해 자치지역 전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한다"고 밝혔다. 자치정부는 성명에서 "거대한 범죄행위에 대해 세계가 침묵하고 있다"고 비난하면서 국제사회의 즉각적인 개입과 중재를 촉구했다. 야세르 아라파트 수반은 나빌 아부 루다이나 대변인을 통해 유엔안보리와 미국,중동평화 로드맵 후원 주체들이 이스라엘의 만행을 저지해달라고 호소했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는 모든 정부 부처와 공공기관에 가자지구 주민 지원에 모든 노력을 기울일 것을 지시하고 국제 인도주의 단체에 지원을 요청했다. 아흐마드 쿠라이 총리는 러시아와 터키 방문 일정을 취소하고 긴급 각의를 소집했으며 내각은 지난해 중동평화계획을 마련한 미국과 러시아, 유럽연합(EU), 유엔이즉각 이번 사태에 개입해 줄 것을 촉구했다. 쿠라이 총리는 특히 모든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에게 이스라엘측에 침공구실을주지않기 위해 로켓 공격을 중단하라고 말했다. ◇ 하마스 태도 변화 = 하마스 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야는 이스라엘군이 가자지구에서 철수하면 카삼 로켓공격을 중단할 용의가 있다고 밝혔다. 하니야는 성명에서 "이스라엘 점령군이 가자지구 북부에 대한 침공과 점령을 중지하면 우리의 아들들도 카삼 로켓 공격을 중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의 성명은 하마스 산하 무장단체 이즈딘 알-카삼여단의 기자회견 수시간만에발표됐다. 이즈딘 알-카삼여단은 자발리야 난민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이스라엘의 군사공격은 실패했다"며 "우리는 카삼 로켓공격을 계속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이 단체는 또 이스라엘 북부 항구도시 아슈켈론을 공격하겠다고 위협하고 "모든 주민들에게집을 버리고 떠날 것을 촉구한다"고 밝혔다. ◇ 아랍권, 이스라엘 규탄 한목소리 = 아랍권은 이스라엘의 야만적 군사공격을규탄하고 이스라엘측에 즉각 병력을 철수하라고 촉구했다. 아랍 중심국가인 이집트의 아흐마드 아불 가이트 외무장관은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 침공을 계속할 경우 역(逆)폭력과 폭력의 악순환이 계속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아므르 무사 아랍연맹 사무총장은 이스라엘의 `범죄행위'로 인해 아랍 역내에유혈과 불안이 심화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아랍연맹은 3일 카이로 본부에서 긴급회의를 열어 아랍권의 공동 대응과 팔레스타인 지원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사우디 아라비아의 이슬람회의기구(OIC) 사무국도 성명을 내고 이스라엘의 공세를 "조직적인 국가 테러리즘"이라고 규탄했다. 요르단 정부 대변인 아스마 카데르는 이스라엘이 가자지구에서 저지르고 있는행동을 `학살'이라고 규정하고 폭력을 즉각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카데르 대변인은이스라엘의 만행을 중지시키기 위해 중동평화 로드맵 후원국들과 국제사회가 개입해줄 것을 호소했다. ◇ 이스라엘-유엔 설전 = 국제사회의 규탄세례를 받고있는 이스라엘은 유엔난민구호사업(UNRWA)의 앰불런스가 팔레스타인 무장단체들의 무기 운반에 동원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다니 길러만 유엔 주재 이스라엘 대사는 이와관련해 코피 아난 유엔사무총장에게 항의서한을 전달하고 진상 조사를 요구했다고 이스라엘 신문들이 보도했다. 이스라엘은 무인정찰기로 찍은 사진을 공개하고 팔레스타인 테러리스트들이 유엔 앰불런스를 이용해 로켓과 탄약 등을 운반하는 장면을 포착했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UNRWA측은 반박 성명에서 "우리는 팔레스타인들에게 인도적 지원만 제공하고 있을 뿐"이라며 이스라엘의 주장을 일축했다. 성명은 이스라엘측이 의혹과 관련해 공식 접촉해오지 않았으며 주장을 입증할 증거도 제시하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카이로=연합뉴스) 정광훈 특파원 baraka@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