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8년 외환위기 이후 매각되거나 통폐합된 금융회사들의 사후 손실보전을 위해 정부가 투입한 공적자금이 약 1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3일 예금보험공사가 국회 재정경제위원회 소속 이종구 한나라당 의원에게 제출한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예보는 지난 6월말 현재 매각 또는 통폐합된 6개 은행과 12개 보험사,1개 증권사 등 총 19개 금융회사에 손실보전 비용으로 9조2천7백3억원을 추가 지원했다. 금융권별로는 제일은행 5조1천1백16억원을 비롯 동남은행 1조8백2억원,동화은행 1조4백19억원 등 은행권에 9조2천30억원이 투입됐다. 현대생명 국민생명 현대투자신탁증권 등 비은행권에는 6백73억원이 들어갔다. 또 예보는 향후 조흥은행과 현대투자신탁증권에 각각 6천5백여억원과 4천여억원이 추가 투입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에 따라 부실 금융회사의 사후 손실을 메우기 위한 공적 자금은 10조원을 초과할 전망이다. 이종구 의원은 "부실 금융회사의 자산과 부채를 제대로 실사해 적정금액에 매각하고 사후 보전을 최소화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홍영식 기자 ysh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