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만으로는 부족하다.


'혁신 강국'이 돼야 선진국으로 도약할 수 있다."


한국경제신문이 국가혁신포럼을 통해 우리 경제계에 전달하려는 메시지는 한마디로 이것이다.


지난 40여년 산업화를 이끌어 온 모방전략이 한계를 드러낸 지금 국가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길은 혁신 뿐이다.


국민의정부 5년 동안 '지식'은 '전가의 보도'였다.


그러나 지식은 혁신이 없으면 작동되지 않는 재료일 뿐이다.


지식이라는 구슬을 꿰어 보배를 만드는 것이 바로 혁신이다.


세계는 이미 그렇게 방향을 잡았다.


유럽연합의 혁신연구체인 '혁신을 위한 파트너(Parnters for innovation)'는 지난해 내놓은 보고서에서 새로운 GDP(국내총생산)공식을 내놓았다.


'지식×혁신'을 GDP라고 정의했다.




지식과 혁신을 동시에 발전시키지 않으면 초일류국가가 될 수 없음을 분명히 한 것이다.


산업화 과정에서 제조업적 노하우와 기술을 축적해왔고 디지털화의 급물살에서 단기간이나마 지식경제에 몰입해온 우리의 선택이 그래서 이제 분명해졌다.


'혁신 강국'은 우리가 숙명처럼 받아들여야할 새로운 비전인 것이다.


그런데 문제는 혁신이 성과 없이 겉돌고 있다는 사실이다.


한경과 산업연구원이 공동 조사한 '2004 혁신역량지수'에서 나타난 진단은 이렇다.


하드웨어적인 혁신 자원을 실제 신상품이나 신기술 개발로 이어주기 위한 여건이 열악한 탓이 가장 크다.


반기업주의,넘치는 규제,딱딱한 노동시장으로는 시장을 선도할 수 있는 혁신제품을 내놓을 방법이 없다.


혁신개념이 제대로 정립돼있지 않다는 것도 문제다.


혁신은 '새로운 아이디어를 상업적 가치가 있는 제품이나 서비스로 전환해 기존의 제품과 서비스 보다 더 가치가 있거나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 또는 제공하는 활동'(산업연구원 국가혁신포럼 발표 자료)으로 보는게 세계적인 추세다.


이런 혁신 개념을 급진적인 변화를 의미하는 개혁이나 부정부패청산과 혼용해 쓰고 있으니 특히 공공부문의 혁신이 방향을 잡지 못하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것이다.


혁신은 시장과 국민,그리고 종업원이 원하는 '새로운 가치의 창조'로 재정의돼야 옳다.


혁신을 새로운 가치 창조라는 의미로 공유할 수 있다면 국가혁신의 목표는 한결 명확해진다.


바로 국민이 느끼는 가치를 극대화하는 일이다.


이런 작업을 통해 국민이 되기를 포기한 비(非)국민들,즉 외국으로 이민가는 국민들,중국으로 공장을 옮겨가는 법인들,한국을 찾지 않는 외국인들까지 새롭게 국민으로 만들 수 있는 가치혁신(Value Innovation)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이다.


송대섭 기자 dssong@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