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7일자) 맞춤형 인재교육에 거는 기대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기업과 대학이 손을 잡고 인재를 길러내는 맞춤형 인재교육 프로그램이 크게 늘고 있다는 소식이다.
LG전자와 고려대,삼성전자와 영남대,만도와 경북대,현대ㆍ기아차와 동의공업대 등이 그런 사례들이다.
인력 수준이 기업 장래를 결정짓는다는 인식이 확산되면서 기업들이 적극적인 인재 육성자로 나서는 것에 때맞춰 대학 또한 졸업생의 취업경쟁력이 대학평가를 좌우하는 시대를 맞아 생존차원에서 문호를 개방하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할 수 있다.
산ㆍ학간 윈윈전략이라 할 이런 인력양성이 확산되면 국가경쟁력에도 적잖은 도움이 된다는 점에서 반가운 일이다.
우리 사회 최대 현안의 하나는 청년실업 문제다.
엊그제 교육부 국감자료에서 서울시내 4년제대 졸업생의 올해 취업률은 60%에 불과했다.
지방은 이보다 더 심할 것이다.
여기서 생각해 볼 것은 청년실업을 오로지 고용없는 성장 탓으로만 돌릴 수 있느냐는 점이다.
인력수급의 양적ㆍ질적 부조화도 청년실업을 악화시키고 있는 빼놓을 수 없는 요인임이 분명하다.
맞춤형 인력양성은 그런 문제를 해결할 좋은 대안일 수 있다.
특히 지방대와 대기업 지방현지 공장 및 지역 산업체간 주문식 인재양성이 활발한 것은 고무적인 일로 평가하고 싶다.
지방,그 중에서도 생산현장 근무를 꺼리는 풍토에서 갈수록 고령화되고 있는 우리 기간산업의 신규 인력수혈에 적잖은 힘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대학으로서도 지방의 핸디캡을 극복, 차별화할 절호의 기회임은 물론이다.
지방대와 기업들이 이렇게 협력하는 것 자체가 지역혁신의 시작일 것은 두말할 필요도 없다.
맞춤형 인력양성이 대기업에만 그치지 말고 중소기업으로 확산되고, 참여 대학도 더욱 늘어나길 기대한다.
정부도 그럴 수 있는 환경 조성에 각별한 관심을 가져야 한다.
대학과 기업간 계약학과 설치를 법적으로 가능토록 한 것에만 만족하지 말고 이것이 널리 확산되는데 있어서 장애물은 없는지 꼼꼼히 챙겨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