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 김완진 입학관리본부장이 '개인 의견'임을 전제로 "본고사 형태의 시험도 허용해야 한다"고 밝혀 논란이 일고 있다. 김 본부장의 이런 발언은 2008학년도 대입제도 개선안과 관련,고교등급제 논란이 커지고 있는데 나온 것이어서 더욱 주목된다. 김 본부장은 7일 서울 우면동 한국교육개발원(KEDI)에서 열린 '특별전형운영실태와 개선점' 주제의 세미나에서 "입학정원의 3분의 1 정도는 본고사 형태의 시험도 과감하게 허용해 선발하도록 하는 것을 개인적으로 제안한다"고 밝혔다. 그는 서울대의 장기 방향으로 △3분의 1은 내신성적 위주 지역균형선발 전형으로 △3분의 1은 서류평가 중심의 특기자 전형으로 △3분의 1은 수능 또는 대학별 고사 성적 위주로 선발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김 본부장은 이와 함께 "개별 고교의 특성에 대한 자료와 입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자료를 축적해 평가에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주장했다. 2008학년도 대입안에 대해 김 본부장은 "수능 의존도를 낮추고 내신비중을 높이는 기본방향은 옳지만 내신 성적 부풀리기를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며 "고교별 학력차가 현실적으로 존재하므로 그 차이를 반영할 수 있는 평가 방법도 도입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현석 기자 realist@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