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연호 연세대 교수(정치외교학)는 '영국은 어떻게 국민들의 반(反)기업 정서를 극복했나'라는 주제발표에서 "영국 사례를 볼 때 반기업 정서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정치권과 정부,기업,학계 사이의 긴밀한 협력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 "반기업 정서가 경제 전반에 미치는 폐해를 실증적 논리로 파헤쳐 (일부 시민단체 등의 잘못된 논리에 함몰된) 국민들의 인식을 바꾸는 것도 중요하다"고 말했다. 발표문을 정리한다. 영국은 19세기 후반과 20세기 초반 자유주의 및 갖가지 사회주의 색채의 이념이 확산돼 빈부격차가 커지면서 반기업 정서가 확산됐다. 이로 인해 영국 경제는 점차 경쟁력을 상실하게 됐고 브레튼우즈 체제 붕괴,오일 쇼크 등이 겹쳐 1970년대 치명적인 위기를 맞았다. 과격한 노동운동이 만연하면서 기업들의 생산성이 유럽 내 최저 수준으로 급락했고 점증하는 국민들의 복지요구를 충족시키려다 국가 재정은 파탄 상황에 이르렀다. 결국 국내 자금의 해외이탈이 가속화하면서 파운드화 위기가 초래됐고 1976년 국제통화기금(IMF)으로부터 구제금융을 받았다. 이같은 고통을 겪은 영국은 1970년대 후반부터 영국 경제 회생을 위해서는 뿌리깊은 국민들의 반기업 정서 극복이 제일의 관건이라고 보고 정치권과 기업,학계가 공동으로 반기업 정서 타파에 나서게 된다. 친시장,친기업,반노동 운동을 근간으로 하는 '대처리즘'은 영국 정부가 추진한 반기업 정서 타파의 핵심이다. 이 정책은 현재 토니 블레어 총리가 이끄는 노동당 정부에서도 그대로 계승되고 있다. 영국의 사례에서 주목해야 할 대목은 개별 기업만의 노력이 아니라 정부와 기업,학계가 긴밀한 협력을 바탕으로 반기업 정서 극복에 나섰다는 점이다. 영국 보수당의 싱크탱크인 경제문제연구소(IEA)와 애덤미스연구소 등이 반기업 정서를 타파하고 '기업가 정신'을 부활시키기 위한 다양한 이론적 토대를 제공하면 정부는 이를 정책에 반영했다. 여기에 기업 스스로의 노력이 가미되면서 국민들 사이에 만연했던 '반기업 정서'로 인해 발병했던 영국병은 성공적으로 치유됐다. 김수언 기자 sookim@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