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0대는 경제활동을 주도하는 '중추'세대다. 이 세대는 무한경쟁의 최전선에서 직접 부대끼면서 고군분투하는 현장세대다. 따라서 이들이 보고 느끼는 경제는 객관적이고 현실적일 수밖에 없다. 그래서 이 세대가 우리경제의 현주소와 앞날을 어떻게 보고 어떤 대응을 하고 있느냐에 따라 실제 한국경제의 앞날이 결정적으로 좌우될 수 있다. 이런 40대가 2030세대나 5060세대보다 우리 경제를 '절박한 위기상황'으로 보고 있는 것으로 이번 조사에서 드러났다. 경제의 앞날에 대해서도 누구보다 비관적이었다. 40대 10명 중 6명 이상이 한국경제가 회복하는데 '5년 내지 10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이들은 현 경제위기의 원인으로 '대통령의 리더십 문제'를 어느 세대보다 많이 지적했다. 이는 '구조적인 문제에서 비롯됐다'는 진단이 많은 신세대와는 확연히 대비되는 대목이다. 세대간 위기요인 진단이 이처럼 큰 시각차이를 보이고 있는 만큼 해법을 놓고 '분배와 성장' 사이에서 큰 갈등이 빚어질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들은 진단한다. 이번 조사에서 전세대에 걸쳐 80%이상이 '현경제상황은 위기'라고 대답해 위기의식이 광범위하게 확산된 것을 알수 있었다. 특히 '위기라는 데 전적으로 동의하느냐'는 질문에 40대는 어느 세대보다 높은 38.3%가 '공감한다'고 대답해 이들의 위기인식이 가장 절박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 질문에 20대는 28.3%,30대는 33.1%,50대는 36.9%가 '공감한다'고 답변했다. 동덕여대 김태준 교수(무역학)는 "사회의 주력인 40대의 이 같은 인식은 경제상황이 그만큼 심각하다는 의미"라며 "현 정부가 경제살리기보다 과거사청산 등 정치개혁에 '올인'하는 데 따른 사회적인 불안이 경제상황을 더욱 악화시키고 있다는 인식이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이같은 상황인식으로 인해 40대는 '경제회복'에 대해서도 젊은세대에 비해 훨씬 비관적이었다.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24.2%나 됐는데 이는 30대(11.4%)의 배가 넘는 수치다. 40대와 신세대(20대)는 '경제위기'라는 인식에 공감하면서도 정부의 정책운용에 대해 40대는 3.25점(10점 만점)을 준 데 비해 20대는 가장 후한 점수(4.23점)를 매겨 대조를 이뤘다. "대통령의 리더십이 문제" 40대는 우리 경제가 회복되지 못하는 이유로 "경제의 구조적인 취약성"(32.5%)을 먼저 들었다. 하지만 "노무현 대통령의 리더십 부재"(20.2%)와 "극심한 이념대립에 따른 사회의 불확실성"(19.2%)이라는 답변도 다른 세대에 비해 높게 나왔다. 어느 세대보다 경제현장에서 위기를 실감하고있는 40대인만큼 정부의 경제실정(失政)을 질책하는 목소리도 높은 것으로 풀이된다. 김 교수는 "개발연대의 마지막 세대인 40대는 박정희 전 대통령과 같은 강력한 리더십에 의한 경제성장을 선호하는 경향이 두드러지고 있다"며 "노무현 정부가 과거사청산 등 정쟁에만 매달릴 게 아니라 경제살리기에 우선적으로 나서야 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고 분석했다. 반면 경제위기의 원인으로 20대와 30대중 우리경제 자체의 구조적 취약성 탓으로 돌린 응답자 비율이 각각 49.5%와 40.1%에 달해 40대와 대조를 이뤘다. 신세대보다는 외국자본에 너그러운 40대 외국자본이 국내기업을 인수합병하는데 대해 40대는 "제한해야 한다"와 "제한해선 안된다"로 팽팽히 맞섰다. "외국자본은 투기자금이므로 제한해야 한다"는 답변은 39.5%인데 반해 "자본이란 투기성격이 있기 마련인만큼 제한할 필요없다"(35.8%)는 응답도 많았다. "외국에 국수주의로 비춰질 수 있으므로 제한해선 안된다"는 의견도 10.2%나 됐다. 40대는 실리적인 관점에서 "경제의 글로벌화"를 지지하면서도 외국자본의 투기성도 우려하고 있음을 동시에 보여준다. 중앙대 김대식 교수(경제학)는 ""제한해서는 안된다"는 의견이 다소 우세했으나 "투기성이 있다"는 응답도 상당수였다"며 "론스타펀드 등 그동안 국내에 들어왔던 외국자본에 대한 불신이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반면 20.30대는 40대에 비해 "투기자금"으로 보는 시각이 좀 더 강했다. 김태준 교수는 "20~30대에서 부정적인 견해가 좀더 높다는 것은 이들이 "실리와 세계화"보다는 "자주와 반세계화"로 기울어 있다는 의미"라며 "그런 점에서 40대는 다른 연령층에 비해 경제에 있어 실리를 추구하는 경향이 높다고도 볼 수 있다"고 해석했다. 이태명 기자 chihiro@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