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조지 부시 행정부는 대(對) 테러 전쟁을 수행하면서 이라크 폭력과 군 업무 부담이 증가함에 따라 전후 안정화를 담당할 비전투병력을 대폭 늘릴 계획이라고 군 소식통과 분석가들이 12일 밝혔다. 미 국방부는 이날 전쟁으로 피폐해진 국가 안정화에 필요한 헌병과 민간업무 및정보 등을 맡을 비전투 병력 10만 명을 육성하는 군 재 균형화 프로그램 7년 계획 추진을 가속화할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는 9.11 테러 전 군대의 주 기능을 전투라며 미군을 '국가 건설'에 사용하는 것을 강력히 반대했던 부시 대통령의 정책이 180도 바뀌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미 육군 참모차장 리처드 코디 대장은 최근 의회 국방브리핑에서 비전투 임무를 확대하는 군 재 균형화 작업은 지난 50년래 군이 추진한 가장 큰 변화라고 말했다. 분석가들은 이 프로그램으로 120만의 전체 현역 병력규모는 확대되지 않으면서 해외 비전투 임무에 동원될 수 있는 자원자로 구성된 군 병력은 배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군의 한 관리는 장기적인 목표는 미국에 위협이 되는 국가에 개입, 정권을 교체하는 부시 독트린에 따라 군의 대 테러전쟁 수행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당장의 목표는 이미 해외에 배치된 비전투 업무 전문병과 잦은 동원 및임무 연장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방위군과 예비군의 부담을 덜어주는 것이다. 익명을 요구한 다른 관리는 "9.11 테러와 아프가니스탄, 이라크 전쟁으로 새로운 방식의 대 테러 전을 수행하고 있다. 위협은 비대칭적이고 다음 공격이 어디서올지 모르고 대응해야 한다"며 "이번 계획은 평화유지에서 전투, 국가건설 등 다양한 임무에 병력을 신속하게 배치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육군 전투 및 비전투 임무 재 균형화 계획은 2003년 초 시작돼 이라크 침공 후 추진이 가속화됐으며 국방부는 이와 관련해 평화유지 연구소도 폐쇄 계획을 바꿔 육군에 안정화 전략을 자문하도록 기능을 확대했다. (워싱턴 로이터=연합뉴스) yung23@yn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