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가 추진해온 현안 사업 대부분이 중도에 포기되거나 기존 계획과는 다른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어 행정력에 대한 시민불신이 확산되고 있다. 13일 울산시에 따르면 국립대 유치와 신산업단지 및 오토밸리 조성,국립병원 건립 등 울산경제와 사회복지에 필수적인 4대 사업들이 정상적으로 추진되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이들 사업은 중앙정부 정책과 예산에 전적으로 의존하고 있어 울산시의 의지와 관계없이 기존 계획이 수정되거나 중단될 때마다 시민들의 실망감이 증폭되고 있다. 울산 국립대의 경우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 1월 설립을 약속했으나 교육인적자원부가 '국립대 추가 신설 불가' 원칙을 고수하면서 난항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에는 한국해양대 등 부산지역 국립대를 울산으로 이전하는 방안이 교육인적자원부에서 유력하게 검토되면서 울산에서는 '신설이냐 이전이냐'를 놓고 갑론을박만 계속되고 있다. 차세대 신산업 혁신전략으로 추진되고 있는 자동차 메카(일명 오토밸리)와 신산업단지 건설사업도 난맥상을 그대로 드러내고 있다. 세계적인 자동차 메카로 육성하기 위한 '울산오토밸리' 조성사업은 최근 감사원이 전면 재조정을 요구함에 따라 궤도수정이 불가피해졌다. 울주군 청량면 용암리 일대에 첨단산업을 유치하기 위해 추진 중인 76만여평의 신산업단지도 환경부가 '공단 추가 조성보다 대기 환경개선이 우선'이라며 반대하고 있다. 울산시가 숙원사업으로 지정,지난해 초 노 대통령과 보건복지부로부터 '적극 검토' 약속을 받아낸 울산 국립병원 설립은 지난 8월 기획예산처의 예비타당성 조사에서 "일반 병상의 과잉과 경영적자,국립병원의 지역건립 첫 사례"라는 점을 들어 불가결론이 내려졌다. 이에 대해 울산대의 한 교수는 "요즘 지자체들은 전경련의 기업도시 유치나 지방 고유브랜드 개발,해외 세일즈 등의 활동을 통해 자립경제기반을 구축하려는 사활을 건 전쟁을 하고 있다"며 "울산시가 중앙정부에 지나치게 의존함으로써 자립기반전략이 부족하다"고 지적했다. 울산=하인식 기자 hai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