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대통령 경제활성화 전략 새 그림 나올까
-
기사 스크랩
-
공유
-
댓글
-
클린뷰
-
프린트
러시아에 이어 인도·베트남 방문을 마친 노무현 대통령이 13일 오후 수석·보좌관 회의를 주재,국정챙기기에 나섰다.
경제관료들과 재계의 관심은 신흥 거대시장으로 부상한 '브릭스'(BRICs·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국가를 둘러본 노 대통령이 이를 경제활성화 정책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 하는 점이다.
이와 관련,김종민 청와대 대변인은 "(노 대통령이) 해외에서 보고 느낀 것을 구체적으로 정책에 투입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김 대변인은 "현 단계에서 구체적인 별도 지시는 없다"면서도 "어떤 성과가 있고,어떤 점이 필요할지를 경제부처 등 유관기관이 종합적으로 살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다른 청와대 관계자는 "러시아 카자흐스탄 방문에서 안정적인 에너지 확보방안과 관련된 성과가 있었고,인도에서도 제철소 진출을 매개로 원자재 확보에 진척이 있었다"며 "전체적으로 우리 기업의 해외진출 성과와 의미,애로점을 피부로 많이 느낀 것도 소득"이라고 평가했다.
기업투자를 더 적극적으로 호소하면서 이를 위해 해외진출 기업의 애로점까지 포함한 기업 고민을 덜어줄 적극적인 지원책을 정부가 모색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는 것은 이 때문이다.
노 대통령은 앞서 이해찬 총리에게 일상적인 국정을 맡기겠다면서 본인은 '에너지 등 5∼10년을 내다보고 짜야 할 국가 장기전략'에 치중하겠다고 강조했었다.
이런 맥락에서 △원유 등 기본 원자재의 안정적인 확보 △대체 에너지 개발 및 에너지 이용의 고효율화 △신흥시장 진출기업을 위한 민·관 정보공유와 협력 △국내 한계산업의 해외진출 지원과 관련된 정부 업무에 속도가 붙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와 관련된 업무를 지원할 정부 내 혹은 민관 합동의 팀이 구성될 것으로 보인다.
노 대통령이 정상외교에서 조성된 방문국의 친한(親韓) 분위기를 통상·교역에서 성과로 이어가기 위해서는 민감한 국내문제에서는 한발 물러서 정책에 어떻게 반영할지에 좀더 고민해야 한다는 지적도 나온다.
이에 대해 김 대변인은 "국가보안법 과거사 문제 등 정무적 현안이나 입법 사항은 국회의 논의와 국민적 합의를 거쳐 진행될 것"이라고 말해 청와대가 일정 거리를 유지할 방침임을 시사했다.
허원순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