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의 역사는 인류 과학기술의 역사와 궤를 함께 해왔다.


한국의 엔지니어링산업도 마찬가지다.


엔지니어링 산업은 과학기술의 성과를 바탕으로 꾸준하게 성장 발전해 왔다.


초대형 건축물이나 도로 항만 플랜트 공항 지하철 등은 엔지니어링 기술의 결정체로 꼽히고 있다.


국내 엔지니어링산업은 내년으로 잡혀있는 시장개방을 앞두고 변신을 꾀하고 있다.


선진국과의 경쟁을 위해 새로운 도약을 서두르고 있다.


"1등 기술,1등 기업"만이 살아남는 개방체제에 대비한 전략 마련에 본격 나서고 있는 것이다.


엔지니어링 업체들은 시스템 통합엔지니어링 등 새로운 기술 도입에 앞장서고 있다.


몽골 태국 말레이지아 등 동남아 시장을 개척하기 위해 온힘을 다하고 있다.




정부가 추진하게 될 '한국판 뉴딜 정책'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대형 프로젝트 추진 과정에서 엔지니어링산업과 기술이 따라서 발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엔지니어링산업에서 일고 있는 이같은 열기를 성장동력으로 만들기 위해 과학기술부와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가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과기부와 협회는 18일을 '제1회 엔지니어링의 날'로 제정하고 엔지니어링산업의 비전을 제시할 예정이다.


▲엔지니어링은 과학기술융합시대의 결정체=엔지니어링은 산업에 미치는 파급효과가 엄청나다.


미국의 한 보고서에 따르면 엔지니어링을 1달러어치 수출하면 3.9달러의 건설 수출로 이어진다고 한다.


이것이 연쇄적인 파급효과를 내면서 총 17.9달러에 이르는 경제적인 효과를 거두게 된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간단하다.


엔지니어링 분야에서는 기자재는 물론 인력과 장비 등이 종합적으로 투입되기 때문이다.


미국과 일본 등 선진국들이 국가차원에서 엔지니어링 산업을 지원 육성하고 있는 배경도 바로 여기에 있다.


이공계 고급인력을 가장 많이 필요로 하는 부문도 바로 엔지니어링분야다.


따라서 일부에서는 엔지니어링산업을 진흥시키면 이공계 문제를 해결하는 데도 도움을 줄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엔지니어링산업 도약 청신호 잇따라=과학기술부는 지난해 엔지니어링 5개년 진흥계획을 마련,단계적으로 이를 추진하고 있다.


지난 6월에는 재정경제부 행정자치부 과학기술부 건설교통부 등 6개 부처가 종합적인 엔지니어링 경쟁력 강화방안을 내놓았다.


이 방안에는 입찰제도를 개선,실질적으로 기술력이 우수한 업체가 낙찰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담겨 있다.


정부가 최근 발표한 한국판 뉴딜정책도 호재가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이헌재 부총리는 공공시설의 대대적 확충을 포함한 한국판 뉴딜정책을 구상하고 있다면서 경제자유구역 건설,복합레저단지,기업도시,지방혁신도시,수도권 신도시 등의 개발수요가 잇따를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같은 대규모 투자에 따른 정부 공사 발주로 국내 엔지니어링 업계는 일감확보에 숨통을 틀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된다.


▲국제경쟁력 높여야=국내 엔지니어링산업은 이제 국제 경쟁력이 없이는 살아남을 수 없는 시대를 맞고 있다.


국내에는 세계 수준의 대형업체가 없다.


중소업체도 전문화보다는 수주를 따기에 유리한 형태로 다양한 사업을 펼치고 있다.


엔지니어링 업체들이 대형화 전문화하고 있는 세계적 추세와는 다른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국내 발주기관의 입찰 참가자 사업수행능력 평가방법이 국제 기준에 미흡하다는 것도 문제점의 하나로 지적된다.


고급인력 부족과 전문인력 육성 관리체계가 미흡한 것도 개선돼야 할 과제로 꼽힌다.


업계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해외조사단을 파견,시장 개척에 나서고 있다.


또한 전문가를 초청,외국의 엔지니어링산업의 현황과 동향을 파악하기 위해 온힘을 다하고 있다.


박흥일 한국엔지니어링진흥협회 부회장은 "대표적인 고부가가치 분야인 엔지니어링산업이 수익성 악화로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국내 시장의 생산성을 높이고 해외 건설시장 진출을 확대하기 위해서는 기술개발 체계를 구축하고 제도 정책 인프라를 시급히 정비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