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역량이 모자라면 장관 자리가 주어져도 업무수행이 어렵게 된다. 또 장관별 업무 성적이 구체적으로 매겨지고,연초의 부처별 업무보고도 일회성으로 그치는게 아니라 연간 보고.평가 체계로 전환된다. 온갖 중장기 현안까지 연초에 두루뭉술하게 보고하면 '일년 농사'가 절반쯤 끝나는 부처의 업무행태를 차단하겠다는 취지다. 16일 청와대에서 노무현 대통령 주재로 열린 행정시스템 개선을 위한 토론회는 이 같은 방식으로 행정 업무의 효율화에 맞춰졌다. 이 자리에는 허성관 행정자치.김병일 기획예산처 장관,한덕수 국무조정실장,청와대 정책실 관계자 등이 참석했다. 토론회의 초점은 △부처별 평가 방식 개선 △정책의 품질관리 △부처별 업무보고 방식 개선에 맞춰진 것으로 알려졌다. "생산성을 높이고,제대로 된 정책이 생산되는 행정시스템을 정비하라"는 앞서 노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토론회가 열린 것이다. 노 대통령은 행정시스템과 공무원의 일하는 자세에서 근본적으로 변해야 할 요인이 많다는 점을 기회있을 때마다 강조해왔고 정부혁신만큼은 자신이 직접 챙기겠다고 밝힌 상태다. 청와대 관계자는 "획기적인 정부혁신으로 정책의 품질을 한단계 끌어올릴 것"이라며 "지위 고하에 관계없이 공무원들이 혁신적으로 일하지 않을 수 없도록 업무매뉴얼(교본 지침)을 개선하는 등 업무체계를 바꾸는 게 현재 논의의 초점"이라고 설명했다. 조직과 기능 정비 등 '하드 웨어' 측면의 개선뿐 아니라 일하는 방식을 바꾸도록 절차와 시스템을 새로 구축,정책의 품질을 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혁신을 본격화하겠다는 얘기다. 한편 대사·영사 등의 외부수혈을 골자로 한 외교통상부 혁신안은 이해찬 총리가 귀국하는 대로 노 대통령 주재의 관계장관 회의에서 결말이 날 전망이다. 외교부 혁신안은 이미 정부혁신지방분권위 주도로 방향이 정해졌으나 외교부의 반발로 최종 결말을 미뤄온 상태다. 외교부 개혁의 핵심은 재외공관장에 대한 외부전문가 충원비율이 될 전망이다. 허원순·정종호 기자 huhws@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