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 전문가들로부터 국가 연구개발 평가에 대해 많은 정보를 얻을 수 있었습니다." 국제R&D평가심포지엄에 참석한 박기영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은 "이번 심포지엄이 선진 연구개발시스템을 벤치마킹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됐다"고 밝혔다. 박 보좌관은 "기술주도형 경제에서는 민간의 연구개발 활성화가 특히 중요하다"면서 "공동연구 지원 및 산학연 협력체제 구축을 통해 기업의 R&D사업을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우수한 중소기업을 선정,연구개발에 전념할 수 있도록 과감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는 것이다. 정부가 추진 중인 국가연구개발사업 참여 산업체 연구인력의 인건비 비중 확대와 관련,그는 "인력에 대한 과감한 지원이 연구개발 효율성을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며 "대학의 연구인력에 대한 인건비 비중도 높여나가도록 힘쓰겠다"고 설명했다. 박 보좌관은 또 효율적인 연구개발분야의 성과 관리를 강화하기 위해 관련기관의 기능을 강화하는 방안을 추진하겠다고 덧붙였다. "과학기술혁신본부는 과학기술정책과 사업을 기획,조정,평가하고 국가전략을 새롭게 수립,국가기술혁신체계(NIS)를 만드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그는 혁신본부가 연구개발사업을 둘러싼 부처간 중복문제와 갈등을 해결하기 위해 주도적으로 나설 것이라고 밝혔다. 박 보좌관은 "국가 과학기술정책의 궁극적 목표는 국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일자리를 창출하는 데 있다"며 "이같은 방향으로 기술혁신정책을 펼쳐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