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기술개발사업으로 지원된 정부의 연구개발(R&D) 투자비 대비 매출이 25.2배로 선진국에 비해 오히려 높은 성과를 올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구개발비 1억원당 2.82명의 일자리를 창출한 것으로 드러났다. 한국산업기술평가원은 한국경제신문사와 공동으로 20일 서울 르네상스호텔에서 개최한 '제2회 국제R&D평가 심포지엄'에서 지난 95년이후 산업기술개발사업으로 지원된 1천1백22개 과제를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산업기술평가원은 연구개발투자 대비 매출이 16~22배 정도인 선진국과 비교했을 때 한국의 정부지원연구사업의 파급 효과가 큰 것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심포지엄에서 알 테이크 미국과학진흥협회 이사는 "미국의 내년 R&D 예산에서 국방분야가 56%를 차지하고 있으며 연방 R&D 예산 중 37%는 산업계에서 집행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국의 팡 양 과학기술평가센터 부장은 "중국의 국가 R&D 투자규모는 지난 91년 이후 10여년간 7배나 증가했다"며 "중국은 기술개발의 수행주체를 관에서 민간주도로 바꾸고 있다"고 설명했다. 우시 홍코 핀란드 국립기술원 부장은 "기술혁신의 60%가 정부지원사업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고 밝혔다. 일본의 하라다 고 경제무역성 조정심의관은 "연구개발평가기관에서 일단 자금을 지원하면 과제종료 후 5년까지 추적평가를 통해 연구성과 활용과 파급 효과를 측정한다"고 설명했다. 이날 행사에는 미국 네덜란드 핀란드 등 10개국의 정부 및 기술혁신지원기관 전문가를 비롯 6백여명이 참석했다. 베트남 태국 등 동남아 관계자들도 초청됐다. 조환익 산업자원부 차관은 "연구개발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선 연구 평가를 철저하게 해야한다"면서 "국가연구개발 사업에 대한 사전기획 및 과제선정 평가 등을 수요지향적이고 성과중심으로 전환해야 할 것"이라고 밝혔다. 오춘호 기자 ohchoon@hankyung.com